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대기업 중 절반가량이 아직 내년 투자 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은 5일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23년 투자 계획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달 17~25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한 조사로 응답 기업(100개사)의 48.0%가 '내년 투자 계획이 없다(10.0%)' 또는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38.0%)'라 답했다.
투자 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이유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금융시장 경색 및 자금 조달 애로(28.6%)'. 이어 ▷원·달러 환율 상승(18.6%) ▷내수시장 위축(17.6%) 등 순으로 집계됐다.
투자 계획을 수립한 곳(52.0%) 중에선 내년 투자 규모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답변이 67.3%로 가장 많았다. 다만 '투자 축소(19.2%)'라는 답변이 확대(13.5%)보다 많았다. 내년 투자 실적이 올해보다 부진할 거라는 점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투자가 활성화할 시점에 대해서는 '2023년 하반기'라는 답변이 29.0%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24년 상반기(24.0%), ▷2024년 하반기(11.0%) 순이었다. 60% 이상의 기업이 내년 하반기 이후 투자가 활기를 띠리라 예상한 것이다. '기약 없음'이라는 답변은 26.0%였다.
내년 투자를 저해하는 요소로는 '글로벌 경기 둔화(29.1%)'를 가장 많이 꼽았다. '환율 상승세 지속(21.3%)'란 답변이 두 번째로 많았다. '고물가(15.3%)', '글로벌 긴축 및 금리 상승 지속(15.3%)'이라 답한 곳도 적지 않았다.
국내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24.6%)'이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자금 조달 시장 활성화(22.0%) ▷기업 규제 완화(14.7%) ▷법인세 감세 및 세제 지원 강화(13.7%) 등을 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시중 유동성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내년에 경기 침체가 본격화할 경우 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하고 투자 자금을 조달하는 데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면서 금융시장 안정 대책도 사전에 마련해 자금시장이 경색되는 상황을 미리 방지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