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내버스 이면도로 운행 늘리고 대중교통 전용 통행구간 확대하자"

대한교통학회 정책토론회…"승용차 범칙금 일정부분 대중교통 보조금 전환해야"
교통영향평가 단계에서 대중교통 개선대책 동시에 마련
낮은 대구 대중교통 분담률 올릴 다양한 수단 모색

유영근 영남교통정책연구원장이 7일 대구교통공사에서
유영근 영남교통정책연구원장이 7일 대구교통공사에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이용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김윤기 기자

대구 시내버스 이용 활성화 차원에서 이용자 접근성을 높이는 이면도로 통행 노선을 늘리고, 대중교통 전용 통행구간도 확대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갈수록 낮아지는 대구의 대중교통 분담률을 높이려면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다.

대한교통학회 대구경북지회는 대구교통공사 후원으로 7일 오후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유영근 영남교통정책연구원장은 '대구시 시내버스 이용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발표하며 해마다 떨어지는 시내버스 이용 수준에 대한 해결책을 짚었다.

대구시에 따르면 시내버스 승차인원은 2012년 2천871만여명에서 지난해 1천740만여명으로 39.4% 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을 받지 않은 2019년 역시 2천296만여명으로 2012년 대비 20.0% 감소했다. 시내버스 수송부담률은 2020년 기준 17%로 승용차(57%)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유영근 원장은 버스 활용도가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 "인구가 증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테크노폴리스, 신서혁신도시, 연경지구 등 도시권이 외곽부로 넓어진 반면 버스 운행 대수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배차 간격이 길어져 승용차 이용을 부추기고 있다"고 판단했다.

해결책으로는 우선 지선 노선 개선을 제시했다. 이용객들의 접근성을 우선하는 차원에서 이면도로에 대한 버스 통행을 허용하거나 보행자·대중교통 혼용도로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유 원장은 "사고를 전환해 좁은 도로의 승용차 통행을 억제할 필요도 있다. 현재 중앙대로 일부 구간에 지정된 대중교통 전용지구를 연장하거나 새로운 구간에 추가 설정하고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 및 연계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요금제도 측면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해 대중교통 요금인상은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승용차 범칙금의 일정 비율을 대중교통 보조금으로 전환해 쓰자는 아이디어도 내놨다.

교통영향평가와 병행해 대중교통 개선대책 수립을 제도화하는 등 도시개발 단계에서부터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대책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다고 봤다.

유 원장은 "대규모 공동주택이나 시설 등을 대상으로 준공 시점부터 버스 노선 계획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