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이 상주시농업기술센터와 공동으로 접목선인장 줄기썩음병 방제기술을 개발했다.
8일 경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접목선인장은 해마다 미국과 유럽 등지로 300톤(t)가량 수출하고 있다. 2021년 기준 국내 전체 화훼류 수출액의 30%를 차지하고 전 세계 교역량의 70%에 이르는 중요한 작목이다. 경북에서는 상주를 중심으로 수출작목반을 구성해 매년 60t 이상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줄기썩음병 등 여러 종류의 병해가 발생해 수량이 감소하고 상품성도 떨어지는 등 수출량이 줄어들고 있었다. 경북에서도 2019년 73t을 생산한 뒤로 매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5~10%씩 감소하고 있다.
올해 생산량도 10월 말 기준 41t에 그쳐 연말까지 50t을 밑돌 전망이다.

접목선인장의 줄기썩음병 증상은 주로 삼각주와 비모란 접목 후 생육초기부터 발생한다.
후사리움(Fusarium)균과 피시움(Pythium)균 등에 의한 밑둥부분 피해와 보트리티스(Botrytis)균,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균 등에 의한 접목부위 피해 등 다양한 병원균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방제기술은 구미화훼연구소가 상주시농업기술센터, 경북화훼수출농업기술지원단과 공동으로 개발한 것이다.
접목선인장 양액을 재배할 때 정식 후 매일 3차례 관수와 배수를 반복하는 방법 대신, 30일 정도 염소소독제(50g/t)를 첨가한 물에 담수해 발근과 생육을 양호하게 했다.
아울러 담수 관리 후 수확기까지는 과산화수소제 400배액을 주 1~2회 뿌려 생육기 줄기썩음병을 줄였다.
접목 전에는 과산화수소제 200배액에 비모란을 담가 적셔 살균하고 접목 시기에는 접목칼 등 도구를 에탄올(70%)로 소독해주면 관행재배 대비 80% 정도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미화훼연구소 등은 이번 연구 과정에서 경북대학교와 공동으로 펙토박테리움(Pectobacterium)균의 감염도 새롭게 진단해 관련 학술지에 보고했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이번 개발한 방제법을 접목선인장 재배농가에 보급하면 지역 화훼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앞으로 접목선인장 등 화훼류 수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