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은행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한때 연 5%까지 오르면서 11월 은행권 정기예금에 28조원에 가까운 시중 자금이 몰렸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1월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천258조6천억원으로 10월말보다 6조5천억원 증가했다. 특히 정기계금은 27조7천억원 급증했다. 수신금리가 오르면서 가계, 기업의 자금이 집중적으로 유입된 게 원인으로 꼽힌다.
자산운용사의 수신도 11월 한 달 동안 8조9천억원 증가했다. 은행의 단기자금 유입 등으로 머니마켓펀드(MMF)가 6조3천억원 늘었고, 주식형펀드(+2조원)와 기타 펀드(+4조1천억원)도 증가했다.
반면 여신(대출) 경우 11월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천57조8천억원으로 한 달 전에 비해 1조원 감소했다. 전세 거래가 둔화하면서 전세 대출 수요가 감소한 탓으로 풀이된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260조7천억원)은 2조원 줄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은 지난달 3조2천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은 5천억원 증가했으나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3조6천억원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전월보다 증가했으나 전세자금 대출 수요가 줄면서 증가 폭이 축소됐다.
은행의 기업 대출은 지난달 말 기준 1천179조7천억원으로 한 달 만에 10조5천억원 늘었다. 대기업대출이 6조5천억원, 중소기업대출이 개인사업자 대출 3천억원을 포함해 4조원 증가했다. 회사채 시장이 위축, 기업들이 은행 대출을 활용하는 경우가 는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