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쟁이 가구의 실질소득이 1년 만에 약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은 '찔끔' 오르는데 물가는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실제 소득이 줄어든 효과를 보였다는 것.
12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입법조사처에 의뢰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상용근로자인 가구의 실질소득이 작년 동기 대비 5% 감소했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5.9% 올랐는데 명목소득은 0.5% 증가하는데 그친 탓이다.
상용근로자는 임금근로자 중 1년 이상의 고용계약을 맺은 사람 또는 일정 기간의 고용계약을 하지 않았으나 정해진 채용절차에 따라 입사해 상여금, 퇴직금 등의 수혜를 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실질소득은 화폐 액면가 그대로의 소득인 명목소득에서 물가 상승률 영향을 제거한 소득을 말한다. 예컨대 올해 월급이 30만원 올랐어도 물가가 올라 같은 물건을 살 때 30만원을 더 써야한다면 실질소득은 변함이 없다는 얘기다.
상용근로자보다 지위가 불안정한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실질소득 감소 폭이 각각 5.1%, 5.6%로 더 컸다. 일용근로자는 아예 명목소득도 1년 전보다 0.02% 줄었다.
임금근로자만큼은 아니지만, 자영업자도 실질소득이 감소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실질소득이 2.5% 줄었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0.7% 감소했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6.3%까지 치솟은 뒤 8월(5.7%), 9월(5.6%), 10월(5.7%), 11월(5.0%) 등으로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그러나 당분간 5% 안팎의 고물가가 이어질 전망이다. 과거 3년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9년 0.4%, 2020년 0.5%, 작년 2.5%였다.
올해 연간 물가상승률은 5%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5.1%올랐다.
김 의원은 "고환율·고물가·고금리·수출 부진·기업 부실 등으로 인한 복합 경제위기가 내년부터 본격화한다는 전망이 다수"라며 "노동자 임금 인상 자제를 외칠 때가 아니라 재정 투자로 내수를 끌어 올려 경제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