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혼부부 역대 최저 110만쌍…1년 새 8만쌍 줄었다

유자녀 신혼부부 비중, 평균 자녀 수도 역대 최저

결혼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신혼부부 수가 1년 새 8만쌍 넘게 줄면서 110만쌍 대로 떨어졌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있는 부부 비중과 평균 자녀 수도 역대 가장 낮았다. 국내에서 34년 만에 다섯쌍둥이를 출산한 군인 부부가 지난 12일 경남 마산에서 아이들의 첫 생일을 앞두고 돌잔치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결혼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신혼부부 수가 1년 새 8만쌍 넘게 줄면서 110만쌍 대로 떨어졌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있는 부부 비중과 평균 자녀 수도 역대 가장 낮았다. 국내에서 34년 만에 다섯쌍둥이를 출산한 군인 부부가 지난 12일 경남 마산에서 아이들의 첫 생일을 앞두고 돌잔치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결혼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신혼부부 수가 1년 새 8만쌍 넘게 줄면서 110만쌍 대로 떨어졌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있는 부부 비중과 평균 자녀 수도 역대 가장 낮았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은 국내 거주 신혼부부는 110만1천쌍으로 1년 전보다 7.0%(8만2천쌍) 감소했다. 201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적은 수치로, 감소폭은 가장 컸다. 특히 혼인 1년 차 부부는 19만2천쌍으로 전년보다 10.4% 급감했다.

자녀가 있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54.2%로 전년보다 1.3%포인트 줄었다. 평균 자녀 수도 0.66명으로 0.02명 줄었다. 각각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차진숙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인구 감소, 경제적·문화적 문제, 코로나19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혼인이 감소하고 출산율이 떨어진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연간소득은 6천400만원으로 6.9% 늘었다. 역대 최대폭 증가다. 맞벌이를 하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이 역대 최고인 54.9%로 2.9%p 상승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맞벌이 부부의 평균 소득은 8천40만원으로 외벌이 부부 평균 소득(4천811만원)의 약 1.7배 수준이었다.

맞벌이로 소득이 늘었지만, 주택 소유 비중은 줄고 대출 보유 비중은 늘었다.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42.0%로 0.1%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초혼 신혼부부의 주택 보유 비중은 2015년 42.6%에서 2016년 43.1%, 2017년 43.6%, 2018년 43.8%로 올랐으나 이후 2019년(42.9%), 2020년(42.1%), 지난해에 걸쳐 떨어졌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중 혼인 1년차의 주택소유 비중은 30.7%에 그쳤으나 연차가 쌓일수록 높아져 5년차(51.9%)에는 절반을 넘었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평균 소득은 7천235만원으로 무주택 부부(5천797만원)의 약 1.2배였다.

주택을 보유한 신혼부부는 무주택 부부보다 평균 소득도 높고, 자녀를 키우는 비중도 높았던 것이다.

초혼 신혼부부의 대출 보유 비중은 89.1%로 1.6%포인트 오르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10쌍 중 9쌍이 빚을 안고 있다는 의미다.

차 과장은 "집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세자금 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증가했다"며 "대출잔액이 2억원 미만인 비율은 줄고 2억원 이상인 비율은 늘었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