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수능에서 의약학 계열을 노릴 만한 점수를 받은 고3 수험생 비중은 줄고 재수생은 늘어 상위권 학과에서 재수생 강세가 두드러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연구회)는 전국 87개 학교의 고3 수험생 2만6천545명의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실채점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 영역의 표준점수 합이 400점 이상인 학생은 자연계열(수학 미적분·기하+과학탐구) 2.02%, 인문계열(수학 확률과 통계) 0.13%였다. 이는 2022학년도 수능보다 자연계열은 1.18%포인트(p), 인문계열은 0.36%p 줄어든 수치다.
상위권 학생들이 선호하는 의예과, 약학과의 마지노선은 표준점수 400점대 초반으로 예상된다. 인문계열에서도 서울대 자유전공, 경영학과, 경제학부 등 최상위 학과의 커트라인이 400점대 초반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표준점수 390점 이상을 받은 고3 수험생 비중도 자연계열은 6.62→5.30%로, 인문계열은 1.03→0.69%로, 각각 1.32%p, 0.34%p 떨어졌다.
이번 수능에서 졸업생과 검정고시생을 합한 비율이 31.1%로 26년 만에 최고로 나타났고, 재수생·N수생이 수능에 강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상위권 경쟁에서 고3이 재수생에 밀리는 상황이 대거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연구회는 "의예, 약학 등 선호 모집 단위와 상위권 대학에서 재수생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러한 모집 단위에 지원하고자 하는 고3 학생들은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능을 주관한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수능에서 국어와 수학의 평균 표준점수 총합은 고3이 193.3점, 재수생·N수생 등 졸업생은 218.8점으로 25.5점의 차이를 보였다.
국어와 수학에 문·이과 통합 체제가 도입된 지난해에 재수생과 고3의 성적 차이가 벌어졌는데, 올해에는 그 격차가 더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평가원은 재수생과 고3의 성적 차이는 뚜렷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평가원 관계자는 "이번 수능에서 고3과 재수생의 성적 차이는 예년과 비슷하다"며 "보다 상세한 분석은 내년에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