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떠나는 청년들…작년 8천200명 빠져나가

2021년 청년 인구 66만6천600명…전년 대비 3.7%포인트↓
경북도 적극적이고 다양한 인구 정책을 통해 지방 소멸 대비할 것

경북도 청년 이동 추이. 경북도 제공

경북도의 청년인구 유출이 두드러지고 있다. 청년 인구 감소폭이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보다 높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경북도는 15일 '2021 경북 청년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경북도는 2018년부터 2년마다 만 15세 이상 39세 이하를 기준으로 하는 청년통계를 작성해 오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경북의 청년인구는 66만6천600명(25.4%)으로 2015년을 정점으로 감소추세다. 2012년 대비 2021년 청년인구 비율은 6.8% 줄었다. 이는 전국 5.4%, 타 도지역 5.5%에 비해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장래 청년인구도 계속 줄어 2037년 청년인구는 47만4천700명(19.1%)으로 전망된다.

경북도 청년 이동 추이. 경북도 제공

지난해 경북 청년의 총전입은 14만2천900명, 총전출은 15만1천100명으로 순이동은 –8천200명, 순이동률은 –1.2%로 집계됐다.

연령별 순이동률은 20~24세 -3.7%, 25~29세 –1.8%, 30~34세 -0.4%로 20대에서 전입인구에 비해 전출인구가 많았다.

청년 가구 수는 22만712가구로 전체 가구의 19.7%를 차지했다. 1인 가구는 11만1743가구였으며, 구미시(47.2%)에 청년 1인 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방의 위기는 초저출산의 결과이면서 원인이기도 하다"며 "특히 청년 인구의 급감은 가득이나 침체된 지역 경제의 사회 자원까지 줄게 해 지방이 황폐화의 큰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출산율도 2011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 2020년 1천명당 38.2명으로 2019년에 비해 2.9명 줄었다.

이런 가운데 경북도는 인구 유입과 청년층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해 11월 '듀얼라이프 기본계획'을 발표, '사람이 모이는 열린 경북'을 비전으로 87개 사업을 도출해 추진하고 있다. 또 행정안전부의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선정 등으로 지방 청년들의 유출 방지와 도시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금까지의 정책으로 지역을 활성화시키기는 역부족이라는 면이 적지 않지만 앞으로는 좀 더 과감하고 적극적인 인구정책을 통해 당면하고 있는 지방소멸 현상을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