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덕수 "이태원 생존자, 치료 생각 강했더라면"…野 "책임회피 파렴치"

한덕수 국무총리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 기자들과 만나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 기자들과 만나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극단적 선택을 한 10·29 참사 생존자에 대해 본인이 생각이 좀더 굳건하고 치료를 받겠다는 생각들이 더 강했으면 좋지 않았을까"라고 발언한 한덕수 국무총리를 향해 "파렴치하다"고 비판했다.

이수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15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한 총리는 오늘 '본인이 좀 더 굳건하고 치료 생각이 강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내대변인은 "스스로 생명까지 포기하기까지 그가 느꼈을 고통과 마음의 상처를 개인의 굳건함이 모자란 탓으로 돌리는 총리가 어디 있냐"고 반문했다.

그는 "종합지원센터의 빈약한 트라우마 치료에 더 적극적으로 어려움을 제기했어야한다는 말로 정부 지원체제의 잘못을 피할 수는 없다"며 "그런데도 국무총리라는 사람이 정부 책임을 회피할 궁리만 하고 있다. 한 총리의 발언은 참사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태도가 얼마나 몰염치한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주도의 영정도, 위패도 없는 국가 애도 기간으로 제 할 일을 다 했다는 듯 책임을 회피하는 정부 태도는 뻔뻔하다"며 "누가 158명의 국민이 목숨을 잃도록 방치했냐. 바로 정부이다. 그런데도 책임을 회피할 궁리만 하고 있으니 기가 막힐 뿐"이라고 비난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지금도 수많은 생존자와 유가족이 비극적 참사에 힘겨워 하고 있다"며 "정부는 생존자와 유가족에 대한 적극적 치료 지원은 물론이고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협조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앞서 한 총리는 이날 오전 출입기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숨진 학생의 경과에 대해 보고를 받았는지, 받았다면 원스톱 종합지원센터 지원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기자의 질문에 "굉장히 마음 아픈 일"이라며 "본인이 생각이 좀더 굳건하고 치료를 받겠다는 생각들이 더 강했으면 좋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다.

또 유가족이 '트라우마 치료가 1주일에 1번, 15분에서 20분밖에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한 데 대해 "지원센터에 그런 어려움을 충분히 제기했다면 좀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본인이 받고 싶어하고 의사가 필요하다 생각하면 정부는 치료를 적극 지원한다는 생각을 철저히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중대본을 일찍 해산시키면서 범부처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선 "그 때문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중대본이 하던 사후 수습이 어느정도 가닥을 잡고, 다른 조직과 기능에 의해 감당이 가능하겠다 해서 이뤄진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국무총리실 비서실은 한 총리의 해당 발언과 관련해 입장문을 내고 "안타까움의 표현일뿐 비극의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국가의 책무를 벗으려는 의도가 아니었음을 알려드린다"며 "한 총리는 이러한 안타까운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국민들께서도 관심을 가져주시길 요청했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