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태원 참사 생존 고교생에 '생각이 좀 더 굳건했으면 좋지 않았을까'라고 말한 한덕수 국무총리를 향해 "공감능력 제로"라고 맹비난했다.
유 전 의원은 지난 15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안타까운 비극 앞에서 총리가 할 말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참사를 겪고 바로 곁에 있던 친구 둘을 잃고 고통에 얼마나 짓눌렀으면 그 어린 학생이 안타까운 선택을 했을지 전혀 헤아리지 못한다는 건가"라며 "생존자들이 얼마나 큰 심리적 충격을 겪고 있는지 제대로 돌아보지 못했음을 사과부터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어떻게 하면 책임을 회피하나' 이런 생각만 하니까 저런 말이 툭 튀어나오는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생존자들에게, 희생자들에게, 유가족들에게 가해지는 2차 피해를 막아야 한다. 유가족들이 원하는 6개 요구사항에 정부와 국회는 성의를 다해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전 의원은 "2022년이 저물어 가지만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의 삶은 10월 29일 밤에 머물러 있다. 지금이라도 최선을 다해 위로하고 경청하고 소통하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태원 참사 생존자인 고교생 A군은 지난 12일 서울 마포구의 한 숙박업소에서 홀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A군에게서 유서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휴대전화에 '곧 친구들을 보러 가겠다'는 메모와 '엄마 아빠에게 미안하다, 나를 잊지 말고 꼭 기억해달라'는 내용의 동영상이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한 총리는 지난 15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A군의 극단 선택과 관련해 "굉장히 마음 아픈 일이다. 본인이 생각이 좀 더 굳건하고 치료를 받겠다는 생각이 더 강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야권에서는 '피해자에게 책임을 돌리는 충격적인 망언'이라고 비판하면서 한 총리의 사퇴를 촉구했다.
논란이 일자 총리실은 "한 총리의 발언은 안타까운 마음의 표현일 뿐, 비극의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국가의 책무를 벗으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총리는 이러한 안타까운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국민들께서도 관심을 가져주시도록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