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북한의 미사일 도발 대응 차원에서 우리 군이 발사한 현무-2C 미사일이 거꾸로 날아든 '낙탄 사고' 원인은 미사일 자세 측정 장치인 '자이로스코프' 오류로 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센서 오류는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군 당국은 해당 미사일을 전수조사하고, 비행 안전장치를 추가 개발해 재발을 막을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16일 "사고가 난 현무-2C의 경우 계측데이터가 없고 현장 증언을 통한 궤적 추적 등으로 제어계통상 문제일 것으로 추정했다"면서 "일어날 수 있는 온갖 오류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구동장치나 유도장치 문제는 아닐 것이란 합리적 추론을 도출했고 (추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관성항법장치 중 센서 자이로스코프 오류로 판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군 관계자는"자이로스코프 안에도 매우 많은 부품이 있고, 어디가 고장인지는 모른다"며 "오랫동안 미사일을 개발했으나 (미사일이) 뒤로 돌아오는 경우는 없었다. 자이로스코프 결함은 굉장히 이례적인 케이스"라고 덧붙였다.
미사일 제어 계통은 크게 관성항법장치, 유도조정장치,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자이로스코프는 이동체의 회전(자세변화)을 측정하는 센서다. 가속도계와 함께 관성항법장치에 장착돼 항공기와 미사일 등의 위치, 속도, 자세를 측정하는 데 쓰인다.
군 당국은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해 비행안전장치를 개발해 현무 2-C 미사일에 장착할 계획이다. 또 국방과학연구소 등과 함께 이달 말부터 내년 3월까지 현무-2C 미사일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원래 의도했던 궤도를 벗어날 경우 탄두부를 분리해 뒤로 더 이상 비행하지 못하고 가까운 앞으로 떨어지게 하는 비행안전종료시스템을 개발해 안전대책 후속으로 넣으려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격절차는 잘 이행됐고 해킹 징후도 없었으며 전력화 부분도 큰 문제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면서 "보안패치 미적용 등 기술고려체계상 일부 보안 문제가 식별돼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군 당국은 미사일 발사 장소로 사용되고 있는 강릉 군부대가 인구 밀집 지역에 있어 국민 안전에 위협이 되는 만큼 미사일 사격 장소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지난번 발사 장소가 강릉이었는데, 인구 밀집 지역 등은 피하고 가급적 국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소로 조정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0월 4일 강원 강릉시 인근에서 우리 군은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도발에 대응해 동해상으로 한미 연합 지대지미사일 사격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국군이 발사한 '현무-2' 탄도미사일이 발사 직후 예정된 비행 방향과 반대로 날아 기지 내로 낙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미사일 낙탄으로 인한 강한 섬광과 굉음으로 강릉지역 주민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다.
군 당국은 사고 이틀 뒤인 지난 10월 6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90명 규모의 조사팀을 꾸려 낙탄 사고 경위와 현무 미사일 전반에 대한 조사를 벌여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