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MF, 한국 집값 하락 경고…"펜데믹 직전보다 10%p 내릴 것"

아태지역 주택시장보고서…코로나 때 가격급등으로 '거품' 지적

지난달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서울 송파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 IMF가 금리인상 여파로 한국 부동산 가격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15일(현지시간) IMF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택시장 안정성과 구입능력' 보고서에서 한국 집값이 코로나 시작 전인 지난 2019년 말과 비교해 올해 말까지 10% 포인트 정도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 역대 추세와 최근 주택 가격간 불일치 ▲ 단기 금리 ▲ 잠재 성장률과 실질 성장률 간 격차 ▲ 가계 신용 등을 고려해 주택 가격 위험분석을 한 결과 이같이 추정됐다고 밝혔다.

한국 등 팬데믹 기간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해 ▲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주택 수요 확대 ▲ 낮은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 ▲ 정부의 대규모 재정 지원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국가별로 2019년 4분기에서 2021년 4분기간 실질 주택 가격 변화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주택 가격 상승은 약 18% 정도로, 뉴질랜드, 호주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IMF는 "팬더믹 기간 아태 지역 선진국에서의 가격 급등은 국가별 수요·공급 요소와 더불어 중앙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낮은 모기지 금리로 촉진됐다"면서 "이로 인해 (역대 가격 추세와 비교해) 상당한 가격 불일치가 발생했으며 일부 국가에서 5~20% 수준의 상당한 주택가격 하방 위험을 초래했다"고 말했다.

이어 "2021년 4분기를 기준으로 한국과 호주의 향후 4분기 주택 가격 성장은 팬더믹 시작 때(2019년 4분기)보다 약 10%포인트 정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향후 금리 인상이 주택 가격 하방 위험을 가중할 것이란 분석도 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 가격 영향에 대해서는 "아태 지역 선진국에서 3%포인트의 금리 인상은 향후 8분기(2년) 동안 주택 가격 상승을 5% 이상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IMF는 "아태지역 주요 선진국과 개도국의 금융 부분은 건전해 보이며 이런 충격 속에서도 탄력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위험 요소를 조기에 식별하기 위한 면밀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