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교 야구 스트라이크·볼 판정 '로봇 심판' 도입되나

정확도·공정성 강화 기대…학생 선수·학부모 적극 환영
협회 심판들도 긍정적 인식…운영 신청서 문체부 심사 중

내년부터 '로봇 심판'이 고교야구대회에 등장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종훈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과 양해영 협회 부회장은 지난 15일 기자간담회에서 스트라이크와 볼을 기계가 자동으로 판정해 구심에게 알려주는 로봇 심판을 내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봇 심판의 정식 명칭은 '자동 스트라이크·볼 판정 시스템'. 현재 미국프로야구 마이너리그, KBO 퓨처스(2군)리그 등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기계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독해 결과를 이어폰을 낀 구심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주관 국제대회에서도 아직 로봇 심판은 도입되지 않아 만일 우리나라 고교야구가 실전에서 로봇 심판을 운영한다면 세계적으로도 큰 이정표를 세울 것으로 보인다.

그간 아마추어 야구에서 심판 판정 문제가 적지 않게 논란을 일으킨 만큼 로봇 심판이 공정성을 크게 강화할 것으로 협회는 기대했다.

양 부회장은 "로봇 심판이 공정성을 크게 강화할 것"이라면서 "전국 고교대회 결과는 선수들의 대학 입시 성적으로 직결되기에 투명한 판정을 요구하는 학부모들이 로봇 심판 도입을 더욱 환영한다"고 설명했다. 협회 소속의 심판들도 로봇 심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협회가 협회 심판팀장을 대상으로 로봇 심판 판정을 테스트했더니 지금 당장 운영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다는 답변을 들었을 정도로 판정의 정확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협회 주관 대회에서 활동하는 심판들이 로봇 심판을 긍정적으로 인식해 도입에 걸림돌도 없는 편이다.

양 부회장은 "볼이 홈플레이트를 관통함과 동시에 기계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독해 심판에게 즉각 알려준다"며 "판독 후 심판에게 통보에 이르는 시간 지연의 우려는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로봇 심판 도입이 확정되면 심판, 전국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로봇 심판 테스트 시연회를 열고, 초기에는 양쪽 더그아웃에 기계의 볼 판정을 그대로 전해 공정성을 더욱 높이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덧붙였다.

협회는 로봇 심판을 운영 지원 신청서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하고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