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희생자 옷가지 태우며 가슴치고 오열…이태원 참사 희생자 49재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 참석한 유가족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 참석한 유가족이 눈물을 훔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린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린'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유가족들이 희생자들의 영정과 위패에 헌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 가 봉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유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유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발생 49일째인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들머리에서
이태원 참사 발생 49일째인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들머리에서'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 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유가족들이 헌화를 마친 뒤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린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린'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유가족들이 조계사 관계자들이 진행하는 소전 의식을 바라보며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고 있다. 소전 의식은 고인의 위패와 옷가지 등을 불로 태워 영혼을 하늘로 보내는 불교의 의식이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린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린'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유가족들이 조계사 관계자들이 진행하는 소전 의식을 바라보며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고 있다. 소전 의식은 고인의 위패와 옷가지 등을 불로 태워 영혼을 하늘로 보내는 불교의 의식이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발생 49일째인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들머리에서 열린 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
이태원 참사 발생 49일째인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들머리에서 열린 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위패와 옷가지를 태우는 소전의식에 참석한 유가족들이 슬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발생 49일째인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들머리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발생 49일째인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들머리에서 열린'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에서 위패와 옷가지 등이 태워지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은 16일 오전 조계사 대웅전 앞 특설무대에서 '10·29(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위령제(49재)'를 봉행했다.

위령제는 서울 종로구 소재 조계사 대웅전 앞에 마련한 특설무대에서 죽은 영혼이 좋은 곳에 태어나도록 기도하는 '천도'(薦度) 의식 형태로 열렸으며, 유가족 150여명을 비롯해 총무원장 진우스님,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대표이사 보인스님, 조계사 주지 지현스님, 신도 등 수백 명이 희생자들의 명복을 비는 자리에 함께했다.

유족 측이 참여를 희망한 영정 67위와 위패 78위를 모신 가운데 조계종 어산종장 화암스님이 의식을 진행했다.

의식은 희생자를 추도하는 158차례의 추모 타종으로 시작했고 헌향, 추모 법문 등이 이어졌다.

이수민 조계사 청년회장은 "꽃 같던 그대들을 떠나보내는 길에 우리 모두의 마음은 깊이 아팠다. 그날 그곳에 있었던 것은 그대들의 잘못이 아니다"며 "부디 모든 고통 잊으시고 아픔 없는 곳에서 평온하시길 바란다"고 추도사를 낭독했다.

유족을 대표해 조미은 씨는 자장가 '잘자라 우리 아가'를 부른 뒤 "조계사에서 저희 아들딸들을 편안하게 보낼 수 있게 해주셔서 뭐라 감사의 말씀을 전해야 될지 모르겠다"고 감사를 표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저는 사실 오늘이 오지 않았으면 했다. 오늘이 지나면 이승에서는 아이를 보는 마지막이 되는 날이기도 하기 때문"이라며 "이태원 그 골목에서 차갑게 생을 마감한 우리 아들 딸들을 잊지 말고 기억해달라. 제일 안전한 나라에서 다시 태어나 근심 걱정 없이 행복하기를 모두 다 기원해달라"고 말했다.

희생자의 위패와 옷가지 등을 불로 태우는 소전의식으로 마무리됐다. 소전의식을 치르던 유족들은 흐르는 눈물을 참지 못해 가슴을 치고 오열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