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군위 편입, 안동·예천 선거구 분리 안된다"

주호영 "안동 독립" 발언 알려져…"지역정서·생활권 무시" 시민 발끈
행정통합 서명·범추위 출범 계획
2020년 경북북부선거구바로잡기 시민운동 '안동·예천' 합구

군위군 대구 편입을 계기로 불거진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군위군 대구 편입을 계기로 불거진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안동·예천선거구' 분리 발언으로 안동지역 시민사회가 발끈하고 있다. '안동·예천 행정통합'과 '안동·예천 선거구 지키기'가 본격 시민운동으로 전개될 조짐이다. 사진은 안동·예천 행정통합 신도시추진위가 17일 국민의힘 안동·예천 당원연수장 앞에서 행정통합 서명을 벌이고 있다. 엄재진 기자

경북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 확정으로 예상되는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 문제와 맞물려 안동지역에서 '안동·예천 행정 통합'과 함께 '안동·예천 선거구 지키기'를 위한 본격적 시민운동이 전개될 조짐이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3일 '아시아포럼21' 초청 토론회에서 군위 대구 편입으로 인한 선거구 조정 문제와 관련 "의성·청송·영덕만으로는 선거구 유지가 안되니까 예천을 받아오면 된다. 안동은 독립선거구가 된다"고 언급한 것이 알려지면서 안동지역 주민들은 발끈하고 있다.

이에 그동안 안동·예천 행정통합을 위해 꾸려진 '안동·예천 행정통합 신도시추진위원회'를 비롯해 범안동시민운동 차원의 '안동·예천 행정통합 범시민추진위'도 조만간 출범,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청 유치와 신도시 조성 등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안동·예천 행정통합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공감대와 당위성으로 행정통합을 추진해 온 안동지역에서는 주 원내대표의 발언을 둘러싸고 '고향 울진을 보호하기 위한 꼼수', '선거구획정위의 논의에 앞서 가이드라인 제시', '지역정서와 생활권 무시한 일방적 발언' 등 반발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신도시추진위는 17일 국민의힘 안동·예천당원협의회 당원연수가 열린 안동시청 낙동홀 앞에서 행정구역 통합 서명운동을 전개하면서 주 원내대표의 안동·예천 분리 발언에 간접적으로 항의하기도 했다.

인구 2만3천여명의 군위군이 대구로 편입되면 이 선거구는 의성 5만명, 청송 2만4천명, 영덕 3만5천명 등 11만여명에 그쳐 단독 선거구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19만4천여명인 영주·봉화·영양·울진 선거구에서 4만7천명의 울진이나, 21만여명의 안동·예천선거구에서 5만5천여명의 예천을 분리해 의성·청송·영덕 선거구에 붙이는 방법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군위군 대구 편입을 계기로 불거진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군위군 대구 편입을 계기로 불거진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안동·예천선거구' 분리 발언으로 안동지역 시민사회가 발끈하고 있다. '안동·예천 행정통합'과 '안동·예천 선거구 지키기'가 본격 시민운동으로 전개될 조짐이다. 사진은 안동·예천 행정통합 신도시추진위가 17일 국민의힘 안동·예천 당원연수장 앞에서 행정통합 서명을 벌이고 있다. 엄재진 기자

지난 2020년 안동·예천 통합선거구 만들기에 나섰던 '경북 북부권선거구바로잡기운동본부' 한 관계자는 "2020년 4·15총선을 앞두고 조정된 선거구획정은 인구 및 생활문화권 등을 고려하고 농·산·어촌 지역 대표성 반영으로 이뤄졌었다"며 "울진과 영덕은 동해안 어촌 생활권으로, 농·산지역인 영주·영양·봉화와는 관계가 없다. 울진이 분리되는 게 맞다"고 했다.

안동시의회도 최근 안동시 풍산읍 한 식당에서 예천군의회 의원들과 만나 안동·예천 행정통합과 관련한 안동지역 정서를 전했다.

안동·예천 행정통합을 자신의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권기창 안동시장은 조만간 토론회를 열어 행정통합 당위성에 대해 설명하고, 읍면동 순회 설명회에 나서는 등 민간차원의 통합추진 활동과는 별개로 분리 불가 분위기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