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 침수 100일 만에 재가동

18개 압연공장 중 13개 작동 중…내년 1월 모든 공정 정상화 목표

포스코가 15일 태풍 힌남노 침수 피해 100일만에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 재가동에 성공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15일 태풍 힌남노 침수 피해 100일만에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 재가동에 성공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는 15일 포항제철소 압연공장 가운데 가장 핵심인 2열연공장 재가동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태풍 힌남노로 지난 9월 6일 완전 침수된 2열연공장은 복구작업 100일 만에 다시 뜨거운 열기를 뿜게 됐다. 이 공장은 포항제철소가 연간 생산하는 약 1천480만t의 제품 중 33% 수준인 500만t이 통과하는 곳이다.

열연 제품은 냉연·스테인리스·도금·전기강판 등 후판과 선재를 제외한 후공정에서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또 기계·건축 구조용, 자동차 구조용, 강관용, 냉간 압연용 등의 소재가 되는 최종 제품이기도 하다.

2열연공장은 포항제철소의 슬라브 약 33%를 받아 처리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74%를 후공정에 공급하는 핵심 압연라인이다.

특히 고부가제품인 WTP(월드톱프리미엄)강의 50%를 처리하면서 포항제철소 수익을 이끌고 있다.

여기에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휴지시간 없이 슬라브를 연속으로 압연하는 연연속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그간 포스코는 2열연공장을 꼭 거쳐야하는 자동차용 고탄소강, 구동모터용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스테인리스 고급강 등 주요 제품들을 1열연공장이나 광양제철소에서 전환 생산해왔다.

하지만 2열연공장을 재가동하면서 공급 체계도 보다 유연해질 전망이다.

현재 포항제철소 18개 압연공장 중 13개 공장(1·2열연, 2·3 후판, 강편, 1·2·3·4선재, 1·2냉연, 2·3 전기강판)이 정상 가동되고 있다.

포스코는 재가동 공장의 조업 안정화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이달말 스테인리스 2냉연공장, 1전기강판공장을 정상화시켜 전 제품 공급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또 내년 1월내 도금공장, 스테인리스 1냉연공장을 차례로 재가동해 포항제철소 복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직원들의 땀이 불가능해보였던 포항제철소를 되살리고 있다. 최대한 빨리 안전하게 정상화해 지역경제 성장을 이끌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