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공공기관 '실내 마스크' 1월 중순 해제 가능성

정부 단계적 해제안 23일 확정…1단계 대중교통·복지·의료시설 등 유지
2단계 대상 시설 확대하는 방식…19일 감염병 자문위서 해제 시점 제시

코로나19 재유행이 최근 다시 증가 추세로 돌아선 가운데 16일 서울의 한 건물에 실내 마스크 착용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기준은 전날 전문가 토론회와 다음주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23일 중대본에서 발표한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재유행이 최근 다시 증가 추세로 돌아선 가운데 16일 서울의 한 건물에 실내 마스크 착용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기준은 전날 전문가 토론회와 다음주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23일 중대본에서 발표한다. 연합뉴스

정부가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를 단계적으로 해제할 전망이다. 2단계에 걸쳐 해제 대상 시설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조정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이르면 내달 중순쯤 1단계 해제를 시행할 전망이다.

18일 방역·보건당국 등에 따르면 실내마스크 착용과 관련, 정부는 1단계로 일부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실내 장소에 대해 기존 착용 의무를 권고로 조정하고, 이후 방역 상황에 따라 2단계로 모든 시설을 전면 해제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이르면 내달 중순쯤 발표할 1단계 해제에서 제외하는 시설로는 대중교통과 복지시설, 의료기관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 등 교육과 보육시설, 공공기관 등은 1단계 의무 해제 대상에 포함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많은 사람이 찾는 마트 등 판매시설의 경우 해제 여부에 대해 추가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해제 시점에 대해선 신중한 분위기다. 설 연휴 이전에 조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지만, 현재 재유행 확산을 고려할 때 해제 시점을 늦춰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방역 당국은 여러 방역 지표들을 바탕으로 실내마스크 해제 조치가 가능한 시점을 계산해 19일 열리는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에 제시할 계획이다. 최종 조정안은 자문위를 거쳐 23일 중대본 회의에서 확정·발표할 전망이다.

앞서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지난 15일 전문가 토론회에서 ▷신규 확진자 수 추이 및 감염재생산지수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신규 위중증 환자 수 추이 및 치명률 ▷고령자·감염취약시설 동절기 접종률 등을 평가 지표로 제시했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설 연휴 이전에 의무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하지만, 최근 유행이 다시 확산하면서 조정 시기를 더 미루자는 분위기도 있다. 앞으로 감염병 자문위 논의 등을 더 지켜본 뒤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0시 기준 전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만8천862명으로, 1주일 전인 지난 11일(5만4천298명)보다 4천564명(8.4%)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520명으로 지난 9월 19일 이후 90일 만에 500명대 기록했다. 이날 대구의 신규 확진자는 2천722명으로 전주보다 19.3% 늘었다. 일요일 기준으로 지난 9월 4일(4천272명) 이후 15주 만에 가장 많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