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업하기 불가능해 진…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중소기업 이자비용 20.3%↑, 총부채 10.4%↑
내년 9월,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상황유예’ 종료

내년 9월
내년 9월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상황유예' 종료와 이자비용 증가로 인해 인해 흑자도산을 우려하는 중소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중소기업의 이자 증가율이 영업이익의 5배 이상 치솟아 '물건 만들어 팔아 봐야 이자도 못 갚는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19일 대항상공회의소가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674개 중소제조상장사의 분기별 부채상황과 정부의 상황유예제도에 대한 기업애로를 조사한 결과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중소기업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늘었지만, 이자비용은 20.3% 증가 했고 총부채는 10.4% 증가했다. 기업이 흑자를 내더라도 이자와 부채 갚기도 벅차 영세기업들을 중심으로 파산 사태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지난 2020년 4월 정부가 시행했던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상황유예'제도가 내년 9월 종료됨에 따라 기업의 숨통을 더욱 옥죄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대출 상환유예 종료를 4차례나 연장해 왔으나, 저성장이 장기화된데다 금융시장 부실 리스크가 확산하면서 최근 종료하기로 확정했다. 당장 내년 대출금을 한꺼번에 갚아야 하는 상황에 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는 셈이다.

김현수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정책실장은 "올해 금리 인상기였다면 내년은 고금리가 지속될 시기"라며 "경제상황을 고려한 금리정책을 검토하고 법인세 인하, 투자세액공제 등 보다 강력한 시그널로 기업들의 자금난에 숨통을 틔워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