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22대 국회의원 총선거 선거구 획정을 위한 인구수 기준 시점(내년 1월 31일)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구경북(TK) 정가의 지각변동 여부에 이목이 집중된다. 지속적인 인구수 감소로 일부 선거구 개편이 불가피한 가운데 지난 8일 군위군의 관할구역을 경북에서 대구시로 변경하는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변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20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21대 총선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수 하한선은 13만9천 명, 상한선은 27만8천 명이다. 11월 말 주민등록인구 기준 대구경북 25개 선거구 중 하한선 아래로 진입한 곳은 ▷대구 동구갑(13만8천503명) ▷군위의성청송영덕(13만2천427명) 2곳이다.
2곳 모두 획기적인 증가가 없다면 기준 시점에 21대 총선 선거구 인구수 하한선을 넘지 못할 전망이다.
다만 대구 동구갑은 하한선과의 차이가 497명으로 근소해 기존 선거구가 유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국 인구가 21대 총선 당시보다 감소해 지역구 선거구 수(전국 253개)에 변동이 없다면 인구수 하한선이 낮아질 것으로 보여서다.
11월 말 기준 전국 인구수(5천145만829명)를 기준으로 하한선을 도출하면 13만5천500여 명대로 집계된다.
문제는 군위의성청송영덕 선거구다. 인구수 하한선을 한참 밑도는 데다 '군위 대구 편입'으로 뭉텅이 인구(2만3천338명)가 빠져나갈 예정(군위 제외 시 10만9천89명)이라 인접 선거구와의 조정(3만 명 이상 유입)이 불가피하다.
지역 정가에서는 의성청송영덕과 연접한 ▷안동예천 선거구에서 예천(5만5천814명) 분리 ▷영주영양울진봉화 선거구에서 울진(4만7천82명) 분리 ▷포항북 선거구에서 읍면동 지역(5만9천519명·구 영일군) 분리 등 3가지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하지만 어느 하나도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도청신도시 경계를 공유하고 있는 안동시는 신도시 조기 발전을 위해 예천과의 선거구 분리는 안 된다는 강경한 분위기다. 울진 분리도 인구 감소 추세를 볼 때 영주영양봉화 선거구의 지속 가능성을 해친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 영일군 지역 분리 역시 선거법상 근거가 없어 부칙에 특례로 넣어야 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특정 지역을 위해 그렇게까지 하겠느냐'는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군위 편입의 특수성을 고려, 인구가 부족하더라도 의성청송영덕을 하나의 선거구로 인정해주는 특례가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지역 관가 관계자는 "인구 하한을 맞추지 못하는 곳을 특례로 인정하면 위헌 판단이 날 수도 있다. 또 지역별 사정을 다 들어줄 수는 없다. 선거구의 키를 쥔 국회 정개특위가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했다.
대구로 편입될 군위군은 동구을 선거구로 편입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대구 선거구 중 동구을이 군위군과 지리적으로 연접해서다. 다만 연접 지역이 대부분 팔공산 일대인 탓에 서로 오갈 교통편이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팔공산터널로 칠곡을 거쳐 군위와 연결된 북구을 편입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