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남성들의 현행 군 의무 복무 기간이 4개월에서 1년(12개월)으로 크게 증가할지 주목된다.
기존 복무기간에서 200%가 늘어나 한번에 3배 수준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25일 대만 언론들은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이틀 뒤인 27일 국가안보 고위급회의를 소집, 이같은 연장 방안을 결정하고 직접 발표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미 답을 정해 놓은 셈인 이 회의 후 행정원과 입법원(국회)를 거쳐 오는 30일 행정원이 전체 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관련 세부 사항을 언급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같은 군 의무 복무 기간 연장은 현재의 병역법을 개정하지 않고도 최대로 설정할 수 있는 '1년'으로 가닥이 잡혔다고 보도에서는 덧붙였다.
연장이 확정되면, 이는 공식 발표 1년 후인 2024년부터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즉, 2024년 1월 1일부터 만 18세가 되는 2006년 출생 대만 남성들부터 1년 군 복무를 하게 되는 것이다.
차이잉원 정부는 이같은 군 의무 복무 기간 연장과 함께 사병 월급도 3배 수준으로 늘릴 것이라고 보도에서는 전했다. 현재 월 6천500대만달러(현재 환율 기준 27만1천원)에서 1만5천대만달러(62만6천원)로 늘리는 것이다.
▶대만군은 그간 중국의 위협 증가, 그리고 입대할 병력이 점점 줄어드는 저출산 문제를 고려, 지원병이 5년 동안 복무하는 모병제를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준비해왔으나 군 의무 복무 기간 연장 역시 진지하게 고민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현실을 고려해 최선보다는 차선을 선택하는 맥락이다.
대만 남성들의 군 의무 복무 기간은 1949년 국민당 정부가 공산당에게 패해 중국 본토에서 대만으로 밀려난 후 2~3년수준이었고, 이게 2008년 1년으로, 2013년 4개월로, 짧은 기간 파격적으로 줄었다. 2008년은 대만에 마잉주 정부가 들어서며 대만과 중국 사이에 갑자기 화해 무드가 조성되기 시작한 시기로 평가된다. 그랬던 게 14년 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맥락이다.
현행 군 의무 복무 기간 4개월은 2개월 기초군사교육과 2개월 군사특기교육을 합한 것으로, 사실상 징병제가 소멸된 것으로 해석된다. 최소한의 군사교육만 이수, 유사시 동원할 수 있는 예비군을 양성하는 맥락이다.
▶대만의 이같은 결정이 공식화하면, 대만정도는 아니지만 최근 군 의무 복무 기간이 빠르게 축소돼 온 대한민국에도 시사점을 던져줄 전망이다.
한국 역시 북한과의 관계가 평화 무드를 타는듯 하더니 최근 강경한 대치 구도로 바뀐 게 닮았다.
특히 저출산 문제의 경우 오히려 대만보다 심각하다. 지난 2021년 기준으로 한국 출산율은 0.81명, 대만 출산율은 0.98명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군 복무 기간은 병역법 제정 이래 1968년 최고 수준으로 증가, 육군 및 해병대 3년(36개월), 해군 및 공군 3년 3개월(39개월)까지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후 장기적으로는 축소 추세를 밟았다.
현행은 육군 및 해병대 1년 6개월(18개월), 해군 1년 8개월(20개월), 공군 1년 9개월(21개월)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