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부터 출판유통통합전산망에서 저자가 책 판매 부수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출판유통통합전산망을 개선해 출판사와 작가 등 사용자들의 불편 사항을 이같이 해소했다고 밝혔다.
먼저 저자가 출판전산망에서 직접 도서 판매동향 보고서를 신청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저자가 출판전산망에서 보고서를 신청하고 출판사가 저자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면, 도서별로 집계된 판매통계가 담긴 보고서가 생성돼 인증마크가 표기된 피디에프(PDF) 형태로 저자에게 전송된다.
그동안은 저자가 출판사에 보고서를 별도로 요청하고, 출판사가 출판전산망을 통해 통계파일(엑셀)을 저자에게 전자우편(이메일)으로 보내는 방식이어서 저자가 이를 신청하기 쉽지 않았다.
출판사가 이용하는 기능도 편리하게 바꿨다. 출판사가 출판전산망에 입력하는 표준 서지정보(메타데이터) 항목이 많다는 의견을 반영해 국립중앙도서관의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납본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출판사의 직접 입력항목을 줄였다.
또한 출판사가 전산망에서 신간 도서 소개 홍보물을 쉽게 제작해 원하는 서점 유통사 등에 한 번에 배포·전송할 수 있도록 했다. 실시간 도서 판매결과도 그간 전체 도서량만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지역·서점·나이·성별 등 세분된 통계를 제공받아 출판기획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개선 조치로 지역서점과 도서관도 신간과 출간예정도서 정보를 미리 받아볼 수 있고, 해당 지역 도서 판매통계 자료를 받아 수서(收書) 기획에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지역서점의 정보 불균형이 해소될 것이라고 문체부는 기대했다.
아울러 지역서점 도서 재고관리 서비스도 신설해 서점주가 재고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재고정보를 지역서점 플랫폼 '서점온'(ON)의 도서예약 서비스와 연계해 소비자들이 도서 구매에 활용하도록 했다.
도서관 사서를 위해서는 도서 주문을 위한 비교 견적과 주문목록 내려받기 기능을 신설해 다량의 도서 구매 업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했다.
문체부와 진흥원은 2017년 송인서적 부도 이후 출판도서 유통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도서의 생산·유통·판매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출판전산망(누리집: bnk.kpipa.or.kr)을 구축하고, 작년 9월 개통해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출판계 대표 단체인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정부 주도의 통합전산망 구축을 우려하며 지난해 7월 출판전산망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도서판매정보 공유시스템'을 자체 개통해 현재로선 출판사 참여가 저조한 편이다. 이달 기준 출판전산망에 가입한 출판사는 출판사 2천982곳, 서점 343곳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도서 유통의 투명성 확보라는 처음 취지에 맞게 출판사와 서점의 가입을 확대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기능을 편리하게 개선하는 등 출판전산망이 모두에게 유익한 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계엄, 1만명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尹측 "이성 잃은 듯, 경악"
탄핵심판 선고 D-1…이재명 "尹계엄에 최대 1만명 국민 학살 계획 있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