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역·다시마가 지구온난화 막아준다…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억t 흡수

독일 연구팀 "갈조류가 CO₂ 많이 흡수…원더 식물로 제시"

갈조류 블래더랙. 연합뉴스
갈조류 블래더랙. 연합뉴스
CO₂를 흡수해 지구온난화 대처 식물이 될 수 있는 갈조류. 연합뉴스
CO₂를 흡수해 지구온난화 대처 식물이 될 수 있는 갈조류. 연합뉴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매년 약 5억5천만t의 이산화탄소(CO₂)를 대기 중에서 흡수, 지구온난화 대처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독일 막스플랑크협회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에 따르면 갈조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를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갈조류는 대기 중의 CO₂를 흡수해 성장에 이용하는데, 흡수한 양의 3분의 1 가량은 당질 배설물로 바닷물에 다시 배출한다.

이 당질 배설물은 구조에 따라 다른 생물이 이용하거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연구팀은 핀란드 남부 항코 인근의 해안생태계에서 2m까지 자라는 갈조류인 '블래더랙'(bladderwrack. 학명 Fucus vesiculosus)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배설물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후코이단'(fucoidan)에 주목했다.

끈적끈적한 점질 구조의 다당류인 후코이단은 까다로운 분자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져 다른 생물이 이용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논문 제1저자인 하겐 부크-비제 연구원은 "어떤 생물도 이를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결과, 후코이단에 포함된 탄소는 대기로 신속하게 환원되지 않아 수백년, 길게는 수천년에 걸쳐 CO₂를 장기적으로 격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후코이단이 질소 등과 같은 영양분은 포함하지 않고 있어 갈조류의 성장이 탄소 손실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