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도권 대학원 중심의 내년도 첨단분야 석·박사 증원 계획을 내놓으면서, 고급 연구인력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 심각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교육부는 "2023학년도 반도체와 소프트웨어(SW)·통신 등 5개 첨단분야 석·박사 정원을 1천303명 늘린다"고 29일 밝혔다. 늘어나는 정원은 24개 대학 69개 학과(전공)에서 석사 907명, 박사 396명이다. 세부적으로 ▷SW·통신 분야 341명 ▷기계·전자 분야 117명 ▷생명(바이오) 분야 109명 ▷에너지·신소재 115명 ▷반도체 621명 등이다.
교육부는 전문가 등으로 대학원 정원 조정 심사위원회를 구성, 대학이 제출한 정원 증원 계획서를 심사해 증원 규모를 결정했다. 기존에는 교원과 교지, 교사, 수익용 기본재산 등 4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대학원 증원이 가능했지만, 올해 첨단분야에 한해선 교원만 충족하면 증원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문제는 내년 증원 인원 가운데 79.6%인 1천37명이 수도권 대학원이라는 점이다. 늘어나는 석·박사 10명 중 8명이 수도권에 몰리는 것이다. 지방대는 20.4%인 266명에 불과하다. 가장 많은 인원이 늘어나는 성균관대(251명)를 비롯해 서울시립대(161명)와 가천대(130명), 국민대(85명) 등은 모두 서울과 인천, 경기에 있다.
대구경북에선 경북대 전자전기공학부에 34명(석사 23명, 박사 11명)이 증원된다. 다른 비수도권 대학도 강원대(15명)와 경상대(32명), 부산대(65명), 충북대(83명) 등 대부분 지방거점국립대다.
지역에선 수도권에 첨단분야 석·박사 정원이 늘어나면, 지방대들이 대학원생 모집에 큰 타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현재도 대학원은 대부분 미충원인 상황에서, 연구과제 확보와 대기업 진출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수도권으로 인재 유출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지역에선 국립대도 석·박사 과정생을 모두 채우지 못할 만큼 대학원 진학 수요가 적다. 그런데 이름 있는 수도권 대학원이 대규모로 정원을 늘리면, 그나마 남아 있던 지역의 석·박사들이 서울 등지로 떠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학원은 정부 과제나 대기업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역량과 대기업 취업 가능성을 높인다. 이번 수도권 중심의 석·박사 증원으로 인해 지방대에선 연구와 취업 기회가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