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에서 생존했지만 극단 선택을 한 고등학생의 어머니가 29일 트라우마 극복을 위해 노력했으나 결국 세상을 떠난 고인 역시 "이태원 참사의 희생자"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29일 열린 국회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 2차 기관보고에서 이태원 참사의 트라우마로 인한 생존자들의 죽음도 희생자로 인정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해줄 것을 촉구했다.
용 의원은 이 자리에서 이태원 참사로 친구들을 잃고 트라우마에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을 한 10대 학생의 어머니가 보낸 문자 내용을 전했다.
이 어머니는 "안녕하세요. 저는 2주 전 10·29 참사 때 두 친구를 잃고 트라우마로 생을 마감한 A학생의 엄마"라며 "유가족 지원을 위한 원스톱통합지원센터라든지 정부의 어느 기관으로부터도 우리 아이가 죽은 이후 연락을 받은 적 없다"고 토로했다.
이 어머니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치료의지 부족이 아쉽다'고 저희 아이에 대해 말씀하시더니 결과적으로 개인의 의지 부족으로 인한 죽음으로 정부에서 여기는 모양"이라며 "하도 답답해 원스톱통합지원센터에 이틀 전 직접 연락을 했더니 어리둥절한 반응을 보이면서 행정안전부에서 직접 전화한다고 통화를 마쳤다"고 했다.
이어 "오늘 행안부에서 온 전화는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는 내용으로 일관했다"며 "저희 가족의 경우 현행법상 유가족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따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절차를 알아보고 있다는 믿을 수 없는 답변만 늘어놓았다"고 지적했다.
또 "제가 굳이 원스톱통합지원센터에 문의를 안 했으면 정부 어느 부처에서도 신경 쓰지 않았을 것이 뻔한데 왜 저에게 아이가 죽은 2주가 지나도록 전화 한 통 없었느냐고 물으니, 행안부는 '유가족 연락처를 모르기 때문에 연락할 수 없었다'는 말만 반복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 어머니는 "제 아이는 이번 참사로 인한 희생자"라며 "참사 직후 극심한 혼란 상태에서 제대로 된 정신상담 치료 한번 못 받고 죽었다. 부상자이자 생존자였고, 가장 소중한 친구 둘을 잃은 상황이었는데도 정부에서 해 준 것은 진료비와 약값을 청구하면 주겠다는 것밖에 없었다"고 호소했다.
용 의원은 이어 "이 학생은 살아보려고 노력을 했다고 한다. 안 가도 된다고 해도 굳이 학교에 갔고, 운동이 좋다고 해서 운동을 끊어서 주 2회 헬스도 나갔다고 한다"며 "스스로 자살예방센터에 전화도 걸어보고 했다는 (어머니) 말씀에 제가 죄송하다는 말 말고 참아 할 수 있는 말이 없었다"고 정부 대응을 질타했다.
용 의원은 "정부 당국과 국회의 부당한 처우로 인해 한 명이라도 더 잃으면 안 되는 것 아니겠냐"며 "트라우마로 인한 생존자들의 죽음도 참사 희생자로 인정하고 필요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용 의원은 이밖에도 ▷생존자 및 유가족 대응 현황 전수조사 ▷행정안전부 추가현안보고 ▷원스톱지원센터 등 해당 기관의 사과와 재발방지 조치 등을 촉구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