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내 한국인 공관 직원 240명 확진…전체의 63%

23일 중국 상하이 창닝구의 퉁런 병원 발열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최근 중국 전역에서 코로나19 의심 환자와 사망자가 폭증하면서 현지 방역당국은 병상 및 의료 인력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중국 상하이 창닝구의 퉁런 병원 발열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최근 중국 전역에서 코로나19 의심 환자와 사망자가 폭증하면서 현지 방역당국은 병상 및 의료 인력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에서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현지에 있는 대사관과 총영사관 등 공관의 한국인 직원 240명이 확진된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외교부에 확인한 내용에 따르면 최근 2주간 중국 소재 공관(대사관, 총영사관, 분관)에 있는 한국인 직원 약 240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중국 내 한국 공관은 10개로 한국인 인원은 총 380명가량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약 63%가 코로나19에 확진된 셈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이들 가운데 중증 환자는 없으며, 확진자 중 210명 이상이 이미 회복하여 업무에 복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현지 영사관 업무도 차질을 빚고 있다.

이달 19∼23일 주청두총영사관과 주선양총영사관은 코로나19 확산세를 감안해 비자 접수 업무를 잠정 중단했다. 두 곳 모두 비자 발급 업무를 중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3년 가까이 고강도 방역 정책을 시행하다가 이달 들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이후 확진자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이에 미국 등 다수 국가가 중국발 여행객을 대상으로 입국 규제를 강화했고, 우리 정부도 이날 비교적 강도 높은 중국발 입국 제한 조치를 내놨다.

우리나라의 방역 강화 방안에는 다음 달 2일부터 31일까지 중국 내 공관에서 단기 비자 발급이 제한되며, 중국발 항공의 추가 증편을 잠정 중단하고 도착 공항을 인천공항으로 일원화한다는 등 조치가 담겼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