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0명 중 8명 "올해 주택가격 하락할 것"

직방, 조사 자료 발표…하락 이유로 '금리 인상 부담 탓' 답변이 절반 이상
매매가 상승 예상한 이들은 규제 완화에 기대 걸어

한 부동산 중개 서비스 플랫폼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0명 중 8명은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직방은 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도 주택시장 전망' 자료를 발표했다. 지난달 12일부터 26일까지 자체 앱을 이용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을 진행한 결과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 3천89명 가운데 77.7%가 올해 거주 지역의 주택 매매가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0.2%에 그쳤다. '보합'이라는 답변은 12.1%를 기록했다.

거주지역별로 나눠 보면 서울(81.5%)과 지방 5대 광역시(80.7%) 거주 응답자들이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80% 이상이었다. 또 경기(74.8%), 인천(76.2%), 지방(75.3%)은 70%대를 보였다.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이라고 답한 이들이 58.2%로 절반을 웃돌았다. 그 다음으로는 ▷경기 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 등의 순이었다.

직방 측은 "응답자 대다수가 작년과 같이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과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있었다"며 "현재 부동산 가격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응답도 10% 이상이었다"고 했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한다고 전망한 이유로는 '정부 규제 완화 기대'(25.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재건축, 재개발 정비사업, 보유세, 대출, 규제 지역 등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추가 대책이 나오고 그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는 게 직방 측 분석이다.

이어 ▷경기 회복 기대(17.5%) ▷금리 인상 기조 둔화 기대(15.6%)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5.2%) ▷교통, 개발 계획 등 호재(1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정부 규제 완화'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지방 5대광역시와 지방 거주 응답자는 '경기 회복 기대'를 가장 많이 응답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