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영식 의원, "민주당 원전안전점검대책단 부적절…시민단체 앞세워 선동"

10일 원내대책회의서 발언…"아마추어 검증단 대응 대책 만들어야"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구미을)이 10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민의힘 유튜브 캡쳐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구미을)이 10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민의힘 유튜브 캡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구미을)은 10일 더불어민주당의 '원전안전점검대책단' 활동을 비판하고 나섰다. 국내에는 원전 사업의 안전을 감시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있는데 시민단체 등을 앞세운 별도의 대책단 활동은 부적절하다는 이유에서다.

김영식 의원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민주당의 원전안전점검대책단 활동을 '문재인 정부 탈원전 시즌2'라고 규정하며 "원전 공포를 선동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지난 정권에서 '노후원전TF', '삼중수소검증단'으로 활동하며 원전산업 손발을 묶었다"며 "정권이 바뀌자 이름만 바꿨다. 당시 부역했던 탈원전 단체 대표들이 버젓이 이름을 올렸다"면서 위와 같이 말했다.

민주당은 지난달 13일 원전안전점검대책단을 출범하고 최근 국회에서 원전안전 지역현안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원전 폭주 정책'에 따른 노후 원전 수명 연장, 신규 원전 강행 등으로 국민적 안전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으니 이를 검증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원전의 계속 운전은 허가의 개념이지, 기능이 안 되는데 무리하게 수명을 연장해 위험하게 가동하는 것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오히려 "문 정권 당시 노후 원전 폐쇄 방침에 따라 면허 연장을 위한 인·허가 절차가 중단된 게 진실"이라며 "정권이 바뀌었는데도 민주당의 계속 운전에 대한 안전성, 경제성 네거티브로 고리 2~4호기 면허 연장 절차가 2~3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면허 연장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규모는 3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이미 탈원전 여파로 올해 한국전력은 40조원 규모의 누적적자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김영식 의원은 "원전 폭주 정책이라니, 적반하장"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으로 죽음의 문턱까지 갔던 국내 원전산업 생태계가 이제 조금씩 돌아가고 있다. 다시 역사의 불운을 겪지 않으려면 아마추어 검증단에 대응하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