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대다수가 협력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 여부를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후 성적이 나쁠 경우 페널티를 부과하는 경우도 있었다.
평가 대상 중소기업들은 ESG 실천 부담이 늘어난 만큼 대기업들이 관련 시설·설비·자금 지원을 늘려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10일 중소기업중앙회는 10일 대기업 30곳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협력사 108곳을 대상으로 ESG 평가 부서 설문을 펼친 결과인 '대기업의 협력사 ESG 관리현황'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 30곳 중 협력사 ESG 평가를 한 기업이 26곳(87%)으로 집계됐다. 2019년 같은 조사 때보다 3분의 1 정도 늘어난 수치다.
협력사에 대해 평가를 하는 대기업 중 18곳(69%)은 구매정책을 구상할 때 그 결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센티브를 준 곳이 13곳, 페널티를 준 곳이 16곳이다. 물론, 모두 부과한 곳도 있으며, 인센티브만 부여한 대기업은 3곳, 페널티만 준 경우도 5곳이었다.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는 기업도 14곳이나 있었다. 중기중앙회는 앞으로 협력사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랑 제출 사례는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협력사 절반 이상(58%)이 ESG 평가 강도가 점차 강해진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대기업의 ESG 관련 지원이 '아예 없다.'는 비율이 42%를 차지했다.
항목별로 보면 ESG 관련 시설·설비개선(20%), 관련 자금(19%), 교육(10%)을 선택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대기업의 평가가 확산하는 만큼 중소 협력사에 대한 교육·컨설팅·시설 비용 지원이 수반되어야 함께 경쟁력을 높여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