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홍수가 발생한 파키스탄에 국제사회가 13조 원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고 지오뉴스 등 파키스탄 매체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은행(WB) 등 국제기구와 세계 각국은 전날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파키스탄 홍수 복구 지원 관련 국제회의에서 총 107억 달러(약 13조3천억 원)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슬람개발은행(IDB)이 가장 많은 42억 달러(약 5조2천200억 원)를 지원하겠다고 했고,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ADB)도 각각 20억 달러(약 2조4천800억 원), 15억 달러(약 1조8천600억 원)의 지원금을 약속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밝힌 지원금 규모도 각각 10억 달러에 달한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와 중국도 각각 1억 달러씩 지원하기로 했다.
지오뉴스는 파키스탄 정부의 이번 회의 지원금 확보 목표는 80억 달러였는데 이를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회의에서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대홍수를 겪은 파키스탄 재건에 160억 달러 가까이 소요된다며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도 "홍수로 인한 총 손실액이 파키스탄 국민총생산의 8%인 300억 달러에 이른다"면서 "세계 각국이 파키스탄의 생명줄이 돼 주기 위한 의지로 뭉쳐 달라"고 호소했다.
파키스탄에서는 작년 6∼9월 최악의 몬순 우기 폭우가 발생, 국토 3분의 1이 물에 잠겼다.
엄청난 물난리가 닥치면서 약 1천700명이 숨졌고, 3천300만 명이 홍수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탄소 배출량이 매우 적은 파키스탄이 기후 위기의 피해로 직격탄을 맞았다며 국제사회가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로 인한 부채와 인플레이션 등으로 이미 경제난이 심각했던 파키스탄은 작년 대홍수까지 겹치면서 국가부도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파키스탄은 강도 높은 에너지 절감·재정 긴축 조치를 도입했고,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부터 긴급 지원을 받으며 버텨나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추가 구제금융 집행이 늦어지는 점도 파키스탄엔 부담이다.
앞서 2019년 파키스탄은 IMF로부터 3년간 60억 달러 규모의 구제금융을 지원받기로 했지만, 구조조정 등 정책 이견으로 인해 절반가량만 집행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샤리프 총리는 전날 IMF에 "악몽 같은 상황과 상대하고 있기 때문에 잠시 숨 쉴 틈이 필요하다"며 구조조정을 일시 중단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