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작금의 시대는 넘쳐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하여, 새로운 혁신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다. 이에 따라 새 정부에서도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축을 위해 관련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국정 운영의 우선 과제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은 하루에도 수없이 만들어지는 다양한 데이터를 쉽게 이해하고, 서로 다른 성격의 데이터를 융합·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생성해 내는 일이다. 하지만 문제점이 있다.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체가 다르다 보니, 데이터의 형식과 내용에 일관성이 없다는 거다. 이처럼 파편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주체가 만든 것처럼 끊김 없이 연결해 줄 수는 없을까?
우리나라에서 개인을 식별하는 코드는 주민등록번호이다. 그렇다면 사람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에 대한 식별 코드는 무엇일까? 바로 주소다. 이제 주소는 가상과 현실 세계를 연결하고, 파편화된 정보를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기준으로 연결하는 매개체로 주목받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6월, 2026년까지의 주소정책 방향을 담은 '제1차 주소 정보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주소 정보 기반의 데이터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 그렇다면, 주소 정보로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세상이 오면 어떤 일들이 가능해질까?
첫째, 공간 데이터 분석에 주소를 활용하면 보다 정밀하고 상세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상권 분석의 경우 구역 단위로만 이루어지던 것을 앞으로는 주소 기반 데이터로 분석하며, 골목마다 도로마다 상권을 분석할 수도 있고 건물 단위별로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상권 분석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때, 도로명, 도로구간, 도로명주소, 상세주소, 더 나아가 사물주소, 공간주소, 시간주소, 입체주소와 같이 고도화된 주소 단위로 데이터의 획득과 분석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둘째, 주소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기존의 내비게이션 등에서 사용 중인 위치 정보는 대구 서구에 소재한 동일한 장소를 '중리진달래2차아파트' '중리진달래아파트2차' '중리동진달래2차아파트'와 같이 정보 제공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왔기 때문에 데이터를 다른 분야에서 활용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주소는 도로명주소 부여 방법에 따라 동일한 위치 정보로 제공되며, 이를 사람과 기계가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간과 로봇이 갈 수 있는 모든 공간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주소가 고도화되면 주소 기반의 서비스(ABS·Address Based Service)란 새로운 혁신 인프라가 만들어질 수 있다.
셋째,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혁신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모빌리티, 사회안전망 등의 다양한 공공영역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최근 대구시 달서구에서는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주소 정보를 중심으로 대중교통·자동차·공유자전거 및 킥보드 등의 이용 정보 데이터를 상호 연계할 수 있는 활용 모델을 마련했다. 앞으로는 이와 같이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내 다양한 서비스를 융합하거나 새로운 혁신 서비스의 발굴이 활성화될 것이다.
주소는 그동안 시대 변화에 걸맞게 진화해 국민의 삶을 보다 편리하게 변화시켜 왔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주소는 또 한 번 도약할 준비를 마쳤다. 모든 데이터가 주소로 연결되어 '주소로 안전하고 편리한 나라'가 하루빨리 구현되기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한동훈·가족 명의글' 1천68개 전수조사…"비방글은 12건 뿐"
사드 사태…굴중(屈中)·반미(反美) 끝판왕 文정권! [석민의News픽]
"죽지 않는다" 이재명…망나니 칼춤 예산·법안 [석민의News픽]
尹, 상승세 탄 국정지지율 50% 근접… 다시 결집하는 대구경북 민심
"이재명 외 대통령 후보 할 인물 없어…무죄 확신" 野 박수현 소신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