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국인에 대한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했다.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에 대한 보복 조치다. 당장 대구경북 기업체 사이에서는 상업무역 비자 발급 중단 여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주한중국대사관은 10일 소셜미디어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중국 국내 지시에 따라 오늘부터 주한중국대사관 및 총영사관은 방문, 상업무역, 관광, 의료 및 일반 개인 사정을 포함한 한국 국민의 중국 방문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상기 사항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차별적인 입국 제한 조치 취소 상황에 따라 조정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한국 정부는 즉각 유감을 표명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의 방역 강화 조치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에 입각한 것"이라며 "중국 측 조치에 대해서는 양국 외교 채널을 통해 사전 소통이 이뤄졌다. 우리 정부의 입장을 다시 중국 측에 전달하고 계속 긴밀히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최근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 등을 고려해 중국발 한국행 단기비자 발급과 항공편 추가 증편을 제한하고,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전후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했다. 중국은 중국발 입국자 방역 조치를 강화한 국가들에 경고성 메시지를 보내왔으나 실제로 보복성 조처를 시행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단기비자 발급 중단 대상에 상업무역 비자가 포함되자 기업들은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중국에 공장을 둔 기업을 중심으로 업무 차질을 우려하는 상황이다. 대구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중국 진출 기업들의 걱정이 크다"며 "미‧중 무역 갈등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교역이 감소한 상태인 만큼 한‧중 경색 국면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외교적 해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경북 구미, 포항 등지 업체들도 비즈니스 악재를 우려하고 있다. 심규정 구미상공회의소 경제조사팀장은 "구미는 중국 수출 비중이 높아 단기비자로 중국을 왕래하는 바이어들이 꽤 있어 이번 조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경계했다. 포항상공회의소 관계자는 "현지 사무실을 가진 중견기업보다는 소규모 사업체의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다만 여행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1~2월은 전통적인 중국 여행 비수기인 데다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도 불안 요소이기 때문이다. 대구 관광협회 관계자는 "중국 여행 상품은 3년 전부터 계속 상황이 좋지 않았던 터라 단기비자 중단 영향도 별로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구-중국 항공 노선 역시 중단된 상태다. 대구국제공항 거점항공사인 티웨이항공은 그동안 매주 목요일 운항하던 대구-연길(옌지) 노선을 이달 5일부터 운항하지 않고 있다.
이 노선은 코로나19로 국제선 운항이 제한된 상황 속에서도 주 1회 운항했을 정도로 인기 노선이었으나 정부가 인천공항으로 중국발 항공기 입국을 일원화하면서 중단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