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3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렸다. 지난해 8월 이후 내리 일곱 번을 올려 기준금리가 3.50%에 이르렀다.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물가 오름세가 여전히 높은 데다 미국 기준금리와의 격차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걱정이 크다. 가계와 기업 경제 주체들이 금리 인상으로 인해 받는 고통이 너무도 큰 탓이다.
이번의 0.25%p 인상분만큼 대출금리가 오른다고 가정할 경우 국내 가계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3조3천억 원 늘어난다. 금통위가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2021년 8월 이래 1년 5개월 동안 늘어난 가계 부채 이자가 무려 39조 원에 달하는 셈이다. 지난해 초 2~3%대이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미 5~7%대로 뛰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충격은 사회적 취약계층일수록 더 크다. 특히 다중 채무자, 20·30세대, 자영업자 등과 최근 2년여 사이 차입 투자를 활용해 공격적으로 자산(주택·주식 등)을 사들인 '빚투족'의 원리금 상환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기업 및 소상공인들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대한상공회의소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1년 5개월 사이 기업 및 자영업자 대출 이자 증가액만 24조 원 규모다. 금리 인상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과 채권시장 경색 등의 여파로 기업 부문 대출은 오히려 급증했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더 오르면 대출 상환에 문제가 생기고 한계기업이 늘어나면서 부실 위험이 금융권으로 번질 수 있다.
지금은 경제 비상시국이다. 급격한 경기 순환 사이클 속에서 경제 주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해야만 이 위기를 넘길 수 있다. 지금으로서는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번으로 마무리되기만을 고대해야 하지만 물가와 국제 원자재 가격 동향,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에 따라 상단을 더 열어둬야 할지도 모른다.
정부는 금리 인상 충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 금융회사들도 예대 마진 욕심을 줄일 필요가 있다. 국내 은행들은 지난해 이후 금리 인상 기조 속에 이미 도합 50조 원 이자 수익을 올렸다. 더 이상은 곤란하다. 대출자의 대출금 상환 여력이 한계점에 다다르면 은행도 무사할 수 없다. 고객이 살아 있어야 은행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