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찾아가지 않은 로또복권 당첨금이 총 413억원에 달했다.
즉, 행운의 주인공들이 '지급 개시일로부터 1년 이내'에 찾아가지 않아 소멸 시효가 완성된 통계이다.
이 뉴스를 보고 '아차' 싶어 로또복권 수탁사업자인 동행복권이나 소관부처인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등에 문의하더라도 '절대로' 찾을 수 없다.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기재부 복권위로부터 받아 22일 언론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총 413억1천500만원이 지난해 기준 소멸시효 완성 로또 당첨금 액수이다.
우선 소멸된 1등 당첨금은 1건(23억7천900만원)이다.
로또 1등 당첨도 평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하는 일이지만, 1등 당첨금을 수령하지 않는 것은 더욱 희소한 사례인 셈.
이어 2등 23건(12억4천100만원)과 3등 1천412건(20억2천700만원)에 대해서도 주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4등(5만원 고정)은 12만662건(60억3천300만원)이 소멸됐다.
또 5등(5천원 고정)은 592만6천944건(296억3천500만원)에 달한다.
아울러 연금복권의 경우는 43억8천500만원, 인쇄복권은 35억4천300만원의 당첨금이 각각 지난해 주인이 수령하지 않아 소멸됐다.
지난해 소멸한 로또복권·연금복권·인쇄복권·전자복권 등의 당첨금 총액은 492억4천500만원이다.
▶그런데 소멸된 당첨금은 공중으로 사라지는 게 아니라, 그대로 복권기금으로 귀속된다.
복권 및 복권기금법 21조에 따르면 복권 발행으로 조성되는 자금 및 수익금과 함께 소멸시효 완성 당첨금도 복권기금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관련 법에 따르면 복권기금의 65%가 임대주택의 건설 등 저소득층의 주거안정 지원사업, 장애인과 불우청소년 등 소외계층에 대한 복지사업 등 복권위원회가 선정한 공익사업에 쓰인다. 또 복권기금의 35%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등 10개 법정배분기관에 배분된다.
즉, 매년 꾸준히 나타나고 있는 복권 당첨금 미수령자들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는데 '익명으로' 기여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 5년 미수령 복권 당첨금은 2018년 501억3천900만원, 2019년 537억6천300만원, 2020년 592억3천100만원, 2021년 515억7천400만원이었다. 이어 지난해는 그 전년에 이어 지속해 감소한 편이다.
다만, 로또 마니아들은 '지급 개시일로부터 1년 이내'라는 수령 기한을 두고는 연장을, 더 나아가서는 미수령 당첨금의 복권기금 귀속보다는 이월을 원하는 목소리를 지속해 내고 있기도 하다. 미수령 당첨금 이월시 그만큼 이후 회차 당첨금 규모도 커지는 게 주된 이유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