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아랍에미리트(UAE)·스위스 순방' 이후 가진 첫 국무회의에서 "총성 없는 경제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이 혼자 싸우도록 놔둘 수 없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안보, 경제, 첨단 기술에 관한 협력이 각 국가들 사이에서 패키지로 운영이 되면서 정부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정부와 민간이 한 몸이 돼 뛸 수 있도록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은 지난주 진행됐던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과 스위스 다보스포럼 참석 등을 언급하며 "첫째도 경제, 둘째도 경제, 셋째도 경제"라며 "복합 위기를 돌파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모든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AE 바라카 원전 성공을 토대로 UAE와 추가적인 원전 협력과 제3국 공동 진출도 모색하겠다는 청사진도 드러냈다. 윤 대통령은 "탈원전 정책으로 붕괴 위기에 처한 국내 원전 생태계를 빠르게 복원하고 원전 산업이 다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제2의 중동 붐을 일으킬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며 "저부터 대한민국 1호 영업 사원으로 신발이 닳도록 뛰고 또 뛰겠다. 국무위원들 한 분 한 분 모두 다 이 나라의 영업사원이라는 각오로 뛰어 주시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또 순방 때 만난 글로벌 CEO들에게 한국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요청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사무실이 언제나 열려 있으니 한국을 방문할 때 편하게 찾아달라고 했다"며 "한국 투자의 애로사항에 대해서도 기탄없이 얘기해 달라고 했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국제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우리나라 제도를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규제, 노동 이런 모든 시스템에서 글로벌 스탠다드의 우리 제도를 정합시켜 나가지 않으면 우리나라에 투자도 하지 않을 것이고, 국제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경쟁하기가 어렵다"며 "우리 제도를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의 혁신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마무리 발언 때도 "올해 국가 정상화, 일류 국가를 위한 글로벌 스탠다드로 정부 시스템을 바꾸어 나가자"면서 글로벌 스탠다드와 과학기반의 국정 운영을 당부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국가 정상화란 이 나라를 일류국가로 만드는 것"이라며 "해외에 나가보니 어떤 열악한 환경에서도 우리 국민들은 대단한 성과를 냈다. 이러한 국민들의 역량으로 정부가 일류국가를 만들지 못하면 그것이 비정상"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조급하게 미시적인 제도들을 만들거나 바꾸기보다는 체인지 씽킹(Change Thinking), 생각 바꾸기가 시작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김 수석은 부연했다.
나아가 과학기술 인재 공급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을 육성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을 기르는 것이 핵심"이라면서 "과학기술 육성과 함께 연구자들이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에 인생을 걸 수 있도록 보상 시스템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했다.
한편, UAE 국빈 방문을 통해 3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것과 관련해선 'UAE가 어느 나라와도 맺지 않은 압도적이고 전례 없는 규모'라면서 신속한 후속 조치를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관계 부처는 한국-UAE 투자 협력 플랫폼 구축 등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해 달라"며 "저도 빠른 시일 내에 수출전략회의와 규제혁신전략회의를 통해서 이 사안을 직접 챙기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