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으로 우리를 가장 힘들게 했던 나라가 바로 중국" "중국은 현재 우리와 가장 가까운 국가이지만 앞으로 가장 경계해야 할 국가로 될 수 있는 나라".
북한의 평양 이과학대학 준박사(한국의 석사) 출신 탈북자인 이윤걸 씨가 2012년 복수의 북한 소식통에게서 입수해 공개한 북한 김정일의 이른바 '10·8 유훈'에 나오는 말이다. 김정일은 2011년 사망 두 달 전 측근들에게 이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는데 중국에 대한 김정일의 경계심이 어느 정도였는지 잘 보여준다.
실제로 김정일의 중국 경계심은 매우 컸다.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라종일 전 주일 대사에 따르면 2000년대 후반 북한이 처음 핵무기 개발에 성공했을 때 김정일이 보인 첫 반응은 "이제 중국의 간섭을 받지 않아도 되겠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라 전 대사는 김정일이 '미국 놈 열보다 중국 놈 하나가 더 위험하다. 중국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중국의 대국주의를 철저히 경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한다.
이런 경계심은 미군의 한반도 주둔 용인과 짝을 이룬다.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 국무장관은 회고록에서 "김정일이 2000년 10월 면담에서 '냉전 이후 우리의 입장이 달라졌다. (주한) 미군은 이제 안정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런 시각은 아버지 김일성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에 따르면 김정일은 김일성이 죽기 전인 1992년 1월 22일 북한 노동당 국제담당비서 김용순을 미국에 특사로 보내 "'동북아시아의 역학 관계로 보아 조선 반도의 평화를 유지하자면 미군이 와 있는 것이 좋다'고 요청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김일성은 김정일에게 '일본은 백년 숙적, 중국은 천년 숙적'이라는 말도 했다고 한다.
마크 폼페이오 전 미 국무장관이 24일(현지시간) 출간한 회고록에서 북한 김정은이 주한 미군의 필요성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한국 내 미국인이 필요하며, 중국 공산당은 한반도를 티베트나 신장(新疆)처럼 다루기 위해 미군의 철수를 필요로 한다'고 했다는 것이다. 중화(中華) 제국주의는 북한 김씨 왕조 3대에게도 엄청난 거부감을 자아내는 모양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