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하루에 약 한 공기 반"…1인당 쌀 소비량 '역대 최소', 30년새 반토막

농식품부 "올해 쌀 28만t 부족할 듯… 내달 수급방안 논의"

연합뉴스.
연합뉴스.

작년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또 감소하면서 역대 최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한국인의 식습관 변화로 한 사람이 하루에 약 한 공기 반만 먹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양곡 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평균 56.7㎏으로 1년 전보다 0.2kg(-0.4%) 감소했다.

이는 30년 전인 1992년 소비량(112.9㎏) 대비 절반에 그친 수준이다.

이로써 1인당 쌀 소비량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2년 이래 역대 최소치를 재차 경신했다.

1인당 연간 양곡(쌀·기타 양곡) 소비량(64.7㎏) 역시 전년 대비 0.3kg(-0.5%) 줄면서 통계 작성 이래 최소치를 기록했다.

1인당 하루 평균 쌀 소비량도 155.5g으로 1년 전(155.8g)보다 0.2% 줄었다.

통상 밥 한 공기에 쌀이 약 100g 정도 들어간다는 점을 고려하면 하루에 쌀밥 한 그릇 반 정도를 먹었다는 의미다.

반면 식료품·음료 제조업 부문 쌀 소비량은 69만1천422톤(t)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레토르트 식품이나 냉동식품, 즉석밥 등 반조리식품을 제조하는 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 제조업의 쌀 소비량이 27.2% 증가하며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이날 농림축산식품부도 "식습관 변화 등으로 쌀 소비량이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전년 대비 감소율은 소폭 감소해 올해 쌀 수요량을 포함한 수급 상황을 다시 추정해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통계청의 양곡소비량조사 결과 발표에 따라 올해 쌀 수급상황을 다시 추정한 결과 올해 쌀 공급이 수요에 비해 약 28만t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당초 농식품부는 2022년산 쌀 생산량 376만t 중 37만t을 수매해 시장에서 격리할 예정이었다. 그러면 실제 공급은 339만t이 된다.

그러나 올해 쌀 추정 수요량이 367만t으로 추정돼 28만t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자 내달 시장격리곡 매입을 지속할지 등을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어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쌀 소비량이 크게 줄지 않은 원인에 대해 물가 상승에 따른 외식비 부담과 가정간편식 시장 확대로 인한 집밥 수요 증가 등을 꼽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생산자부터 소비자까지 전 국민이 참여하는 소비 캠페인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