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연금 보험료율 9%? 12%? 15%?

지난 27일 서울 중구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 모습. 이날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가 국민연금의 제도 유지를 전제로 향후 70년의 재정수지를 추계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개혁 없이 현행 제도대로 유지될 경우 2041년부터 수지 적자가 발생해 2055년엔 기금이 바닥날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지난 27일 서울 중구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 모습. 이날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가 국민연금의 제도 유지를 전제로 향후 70년의 재정수지를 추계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개혁 없이 현행 제도대로 유지될 경우 2041년부터 수지 적자가 발생해 2055년엔 기금이 바닥날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 소속 민간자문위원회가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재 9%에서 15%까지 올리는 것을 전제로 한 연금개혁 초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이날 연금특위 민간자문위 등에 따르면 민간자문위는 지난 27, 28일 이틀 동안 회의를 진행해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생애 평균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 비율) 등 국민연금 핵심변수 조정을 담는 연금개혁 초안에 대해 논의했다.

여기서 보험료율을 9%에서 15%로 인상하면서 소득대체율 역시 현행 40%에서 50%로 올리는 방안이 검토됐다.

또 보험료율만 15%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기존 40%로 두는 방안도 검토됐다.

아울러 보험료율을 9%와 15% 사이 절충점인 12%까지만 올리고 재정건전성 강화 취지로 소득대체율은 되려 현재 40%에서 30%로 낮추자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즉, 현재까지 제기된 보험료율 수정 범위는 9~15%, 소득대체율 수정 범위는 30~50%인 셈이다.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둘 다 '수정할 때가 됐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은 같다.

보험료율의 경우 1998년 1차 연금개혁 때 9%로 설정한 후 20년 넘게 그대로이다.

소득대체율은 1988년 국민연금 도입 때 70%(40년 가입 기준)였으나, 2028년까지 40%로 떨어질 전망이다. 올해(2023년)는 42.5%.

▶국민연금 보험료율 및 소득대체율 수정은 최근 불거진 기금 '고갈론'과 연결돼 국민들이 여론에서 관심 있게 언급하는 모습이다.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가 국민연금 제도 유지를 전제로 향후 70년 재정수지를 추계해 지난 27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개혁 없이 현행 제도대로 유지될 경우 2041년부터 수지 적자가 발생하고 2055년에는 기금 자체가 바닥날 것으로, 즉 '0'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2018년 추계에서 소진 시점이 2057년으로 예상됐던 것과 비교, 2년 앞당겨진 것이다.

한편, 민간자문위는 원래 이달 말까지, 즉 오늘(30일) 아니면 내일(31일)까지는 연금개혁 초안을 마련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내부 입장 차이로 인해 합의가 지연되며 추가 회의를 거쳐 2월 초 특위에 초안을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