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난해 벤처투자액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위기로 10%이상 감소

지난해 벤처투자액 전년 대비 11.9% 감소한 6조7천640억 원
ICT 서비스, 유통·서비스, 바이오·의료 비중 70%로 가장 많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미디어 컨텐츠 업 유일하게 증가

29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전년 대비 11.9% 감소한 6조7천640억 원으로 파악됐다.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
29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전년 대비 11.9% 감소한 6조7천640억 원으로 파악됐다.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

지난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상황에서 벤처투자 규모가 1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전년 대비 11.9% 감소한 6조7천640억 원으로 파악됐다고 29일 밝혔다. 2021년이 7조6천802억 원으로 역대 최대규모였던 것을 고려했을 때 감소했음에도 지난해 투자액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지난해 벤처투자액을 분기별로 보면 1분기가 2조2천214억 원으로 전년 같은 시기에 비해 68.5% 늘었다가 2분기에는 증가율이 1.4%에 머물렀고, 3분기에는 38.6%로 줄었고 4분기에도 이어 43.9% 감소했다.

업력별로는 업력 3년 이하의 창업 초기기업 투자가 유일하게 증가했다. 초기기업 투자는 전년 대비 7.8% 늘어난 2조50억 원으로 최초로 2조 원 선을 돌파했다.

벤처투자액 업종별로는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유통·서비스, 바이오·의료 등 3개 업종 투자액이 전체의 70.5%를 차지했다. ICT 서비스 벤처투자액은 2조3천518억 원으로 가장 많지만 지난해 동기보다 3.2% 줄었고 유통·서비스는 1조3천126억 원으로 9.8% 줄었다.

이어 1조1천58억 원이 투자된 바이오·의료는 상장한 바이오 기업의 주가 하락, 기술특례 상장 심사 강화 등으로 34.1%나 감소했다.

반면 증가한 업종도 있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K-팝, K-드라마 등의 세계적 유행으로 엔터·영상콘텐츠주가, 영화 관람객 회복 등에 따라 영상·공연·음반 등 미디어 컨텐츠 업종은 4천604억 원으로 10.6% 늘었다.

중기부는 "복합 위기로 지난해 벤처투자가 미국은 30.9%, 이스라엘은 40.7%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국내 벤처투자 감소율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국내 벤처캐피털들의 적극적인 투자처 발굴과 출자자 모집 노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