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 오전 9시 대구형 마일리지 통합 플랫폼 'D마일' 앱 신규 가입 회원 400명에게 1만 마일리지 즉시 지급 이벤트가 열린다. 이 마일리지를 대구행복페이로 연결하면 택시 요금, 전통시장 장보기, 음식 주문 등에 현금처럼 쓸 수 있다.
30일 대구시에 따르면 그간 D마일은 가입 즉시 소량이나마 포인트를 지급하는 일부 민간 서비스와 달리 기본 제공 마일리지가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처음으로 현금 1만원처럼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를 선착순 지급한다. 게다가 올해는 플랫폼 이용자 확대를 목표로 짝수 달마다 신규 가입자에게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할 계획이다.
D마일은 대구시가 소상공인 중심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서비스를 시행한 것으로, 공공과 민간에서 발생하는 마일리지를 통합 후 지역화폐(대구행복페이)나 교통카드(원패스)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
공공 마일리지는 승용차 요일제(승용차 5부제 운행 동참 시 마일리지 적립), 에코바이크(자전거를 이용하면 마일리지 적립), 탄소중립 활동(걷기, 분리수거, 절전 등 43개 분야 실천 후 마일리지 적립) 등의 서비스가 연계돼 있다. 민간 마일리지는 신용카드, 정유사, OK캐시백, 도서상품권 등 다양한 분야의 포인트를 한 곳으로 모으는 서비스인 포인트 파크(https://www.pointpark.com/PointPark)와 연계해 포인트파크 제휴사 16개사 포인트를 D마일로 전환해 쓸 수 있다.
사용방법은 우선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대구ID앱과 D마일앱을 각각 설치해야 한다. 이후 대구ID앱에서 회원가입을 하고서 앱 내 D마일 배너를 클릭하면 로그인 정보를 연동해 D마일 앱에 연결된다. 회원가입 및 문의사항은 고객센터(1566-5796)나 사용자 포털(https://dmile.daegu.go.kr)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경현 대구시 미래ICT국장은 "올해는 D마일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신규 회원 수 증가 및 신규 서비스 발굴에 집중할 예정이다. D마일 서비스를 통해 사용처가 없어서 버려지는 마일리지가 아니라 마지막 1마일리지까지 지역 소상공인에 쓰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 포인트파크 제휴사(16개사, 2023년 1월 현재) : 삼성카드, BC카드, 신한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농협카드, 우리카드, 유안타 증권, GS포인트, S-oil포인트, OK캐쉬백, 도서문화상품권, 롯데 L포인트, 한전KDN, LG U+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