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향사랑기부제' 한 달…경북 7억7391만원·대구 4878만원

실적 희비 엇갈려…일부 지자체 답례품 준비도 못해

경북농협(본부장 윤성훈)은 설 명절을 맞아 고향을 찾은 귀성객에게 고향사랑기부제를 알리고자 지난 19일 안동역과 안동버스터미널에서 가두캠페인을 펼쳤다. 경북농협 제공
경북농협(본부장 윤성훈)은 설 명절을 맞아 고향을 찾은 귀성객에게 고향사랑기부제를 알리고자 지난 19일 안동역과 안동버스터미널에서 가두캠페인을 펼쳤다. 경북농협 제공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한달 열악한 지자체 살림에 어떤 도움? 대구와 경북간 극명한 대비
열악한 지방재정을 보완하는 제도로 올해 1월 1일 도입된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 한 달을 맞은 가운데 경북과 대구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경북 지자체에는 기부금이 답지한 반면 대구 지자체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일부 지자체들은 시행 1개월이 넘도록 기부 유도를 위한 답례품을 하나도 준비하지 못하는 등 내부적으로 준비가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30일 경상북도와 23개 시군에 따르면 지난 29일까지 3천500여 명의 기부자가 경북도 본청과 23개 시군에 7억7천391만원 상당을 기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예천군에 203명이 9천90만원을 기부해 가장 많은 기부금이 몰렸다. 연간 기부 상한액인 500만원 기부자가 8명이나 되고, 100만원 이상 고액기부자도 28명에 달했다.

이어 ▷의성군(6천653만원) ▷경주시(5천165만원) ▷상주시(4천423만원) ▷성주군(4천9만원) 등에도 상당 금액의 기부금이 모였다. 경상북도 본청에는 100여 명이 5천여만원을 기부했다.

대구의 기부금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대구시와 8개 구·군청에 따르면 29일 기준 464명의 기부자가 4천878만3천200원을 고향사랑기부금으로 각 지자체에 보냈다. 기부금이 가장 많은 곳은 달성군으로 1천304만6천500원이었다. 이어 남구 919만원, 대구시 800만원 등의 순이었다.

기부제 도입과 함께 각 지자체가 준비한 답례품도 관심을 모았다. 지자체는 기부자에게 기부금의 30% 한도 내에서 답례품을 제공할 수 있다. 기부자는 행정안전부가 구축한 '고향사랑e음' 홈페이지를 통해 기부금을 납부하고 답례품을 선택할 수 있다.

지자체들도 전담팀을 꾸리고 다채로운 지역 특산물을 답례품으로 내놓고 있다. 시행 한 달 동안 50개가 넘는 답례품을 준비한 지자체도 있지만 대구 수성구청 등 아직까지 하나도 준비하지 못한 구청도 있었다. 수성구청 관계자는 "준비 절차가 늦어져 답례품을 등록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고향사랑기부제=지방 소멸 위기 속에 재정 자립이라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개인 연간 기부 한도는 500만원으로 10만원까지 연말정산으로 돌려받을 수 있고 초과분은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