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새해 첫 달 대구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 대를 기록했다. 특히 공공요금 인상에 전기·가스 물가가 급증했다.
2일 동북지방통계청의 '1월 대구·경북 지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대구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0.46(2020=100)로 전월대비 0.8% 상승했고 1년 전보다는 5.3% 올랐다.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112.39로 전년 동월(105.76) 대비 6.3% 상승했다.
전년 동월대비 식료품, 비주류음료, 주류, 음식서비스 등 식품은 7.2%, 식품 이외는 5.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도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하며 전체 물가 상승에 0.14%포인트(p) 기여했다. 품목별로 보면 양파 가격이 지난해보다 47.8% 상승했고 귤(23.8%), 고등어(17.7%) 등도 크게 올랐다. 토마토(27.2%), 딸기(17.1%), 사과(16.7%) 등의 가격은 하락했다.
전월인 지난해 12월과 비교하면 오이(69.9%), 호박(58.9%), 상추(51.3%) 등이 올랐다. 딸기(6.2%), 수입쇠고기(5.2%) 등은 각각 하락했다.
가장 많은 오름폭을 보인 것은 공공요금 인상이다. 이 영향으로 전기·수도·가스 품목은 전년 동월 대비 29.5%나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에 1.03%p 기여했다. 지난해보다 도시가스는 35.9%, 전기료는 29.5%, 상수도료는 11.1%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경북지역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110.91로 전년 동월 대비 5.4% 올라 상승폭이 3개월 만에 소폭 확대됐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달 대비 6%, 신선식품지수는 4.1% 각각 올랐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며 서울, 부산, 대구 등 40개 지역에서 조사하고 기준연도는 2020년이다.
조사 품목은 상품 및 서비스 458개 품목이며 품목별 가중치는 가계 동향조사 월평균 소비지출액에서 각 품목의 소비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으로서 1000분비로 산출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