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개인정보 유출과 인터넷 접속 장애 사태를 일으킨 LG유플러스에 대해 특별조사를 실시한다. 주요 기간통신사업자임에도 이용자 피해가 늘면서 LG유플러스의 전반적인 정보보호 대응체계를 들여다보겠다는 이유에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6일부터 LG유플러스의 고객 정보 대량 유출 사태와 관련해 지난달 꾸린 민관합동조사단을 '특별조사점검단'으로 격상·강화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특별조사단은 LG유플러스 개인정보 침해 사고의 종합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조치 방안과 개선 대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LG유플러스의 기본적인 침해 대응체계가 미흡한 것에 대해 경영진에게 강력히 경고한다"며 "반복된 침해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체계를 개편하는 등 법령 개정을 포함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올해 들어 사이버 공격으로 총 29만명가량의 이용자 개인정보가 유출돼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바 있다.
지난달 29일 새벽에는 세 차례에 걸쳐 63분 동안 유선망 접속 장애가 발생했고 6일 만인 지난 4일에도 재차 장애가 발생했다. 장애 원인은 서버에 대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으로 추정됐으나, 공격 진원지와 구체적인 방식 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LG유플러스는 디도스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위기관리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주요 경영진이 참여하는 위기대응 상황실을 구성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위기관리 TF를 중심으로 한 대응체계를 통해 디도스 공격에 대한 사전예방 및 대응조치를 차질없이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