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20년생 노인될 때 10명 중 3명 빈곤…"국민연금·기초연금 낮은 탓"

"공적이전소득만으로 빈곤선 이상의 소득 확보해야"

노인 관련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노인 관련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2020년에 태어난 영아가 노인이 되는 2085년에 노인 10명 중 3명이 빈곤할 정도로 노인빈곤율이 높다는 예측이 나왔다.

국민연금, 기초연금, 복지급여 등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이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5일 공개된 국민연금연구원의 'NPRI(국민연금연구원) 빈곤 전망 모형 연구'(안서연·최광성) 보고서를 보면 2020년 38.97%이던 노인빈곤율은 2025년 37.68%에서 조금씩 낮아져 2075년 26.34%까지 내려온 후 다시 상승해 2085년에는 29.80%로 전망된다.

노인빈곤율은 노인 인구 중 중위소득의 50%(상대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노인빈곤율이 가장 높다.

2020년 노인빈곤율은 OECD 평균 13.5%(2019년 기준)보다 2.9배 높다. 2085년에도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OECD 국가 평균 예상치(15~16%대)보다 2배가량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높은 노인빈곤율의 원인은 노인 소득 중 공적이전소득 비중이 작다는 점이다. 공적이전소득이 노인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기준 한국이 25.51%로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낮다. 노인빈곤율이 비교적 높은 일본이나 호주조차 60%에 달한다.

또 1인 가구·부부가구의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미래세대의 전망은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봤다. 보고서는 "가구 내 노인 부양자가 동거하지 않음으로써 빈곤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늘어날 수 있다"고 봤다.

1인 노인가구가 빈곤 소득에서 벗어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공적이전소득만으로 빈곤선 이상의 소득을 확보하는 것.

보고서는 "국민연금 수급액은 미래 노인빈곤율 감소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절대적인 노인빈곤율 수치는 여전히 높을 것으로 보인다. 공적연금뿐 아니라 공공부조와 기초연금에 이르는 전체적인 노후소득보장 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