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년제 대학교 총장 10명 중 4명이 내년에 등록금을 인상할 계획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사립대학 총장은 절반 가까이가 내년 등록금 인상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출입기자단이 지난달 31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23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한 116명의 대학 총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등록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변한 114명 중 45명(39.5%)이 '내년쯤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검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2.3%(14명)에 불과했다.
이 외에 '정부 방침을 따르겠다'는 응답은 34.2%(39명)이었고, '올해 1학기', '올해 2학기'에 하겠다는 응답도 각각 8.8%(10명) 0.9%(1명)였다. 또 '2년 후쯤 검토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4.4%(5명)로 집계됐다.
특히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정 상황이 열악한 지역 소재 대학의 등록금 인상 의지가 컸다. '내년쯤 (등록금 인상)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수도권 소재 대학 총장 비율은 35.7%였지만,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정 상황이 열악한 비수도권 소재 대학 총장 비율은 41.7%였다.
또 국·공립대보다 사립대가 등록금 인상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대 총장 74명 중 절반 가량인 35명(47.3%)이 '내년쯤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지만 국·공립대 총장은 26명 중 5명(19.2%)만 '내년쯤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국·공립대 총장 중에는 '정부 방침을 따르겠다'는 응답이 38.5%(10명)로 가장 많았다.
'등록금을 인상할 경우 어디에 가장 먼저 쓸 계획인가'라는 질문에는 전국 대학 총장 114명 중 가장 많은 52명(45.6%)이 '우수 교원 확보 및 교원 처우 개선'이라고 응답했다. '노후 시설 및 교보재 정비'는 42명(36.8%)이었고, '학생 장학금 확대' 10명, '연구역량 강화' 7명 등이었다.
또 '학령인구 감소로 향후 10년 내에 문을 닫을 것으로 예상하는 4년제 일반대학'의 수를 물어본 결과 설문에 응답한 111명 중 '31~40개'라는 응답이 30명(27.0%)으로 가장 많았다. '없다'는 응답을 한 총장은 1명도 없었으며, '60개 이상'이라고 응답한 총장도 17명(15.3%)에 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