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DI "수출 감소폭 확대·내수 회복세 약화… 경기 둔화 심화"

한국개발연구원 2월 경제동향… "올해부터 경기 둔화 가시화, 본격 둔화 흐름"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최근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내수 회복세까지 꺾이면서 경기 둔화가 한층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발간한 '경제동향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감소 폭이 확대되고 내수 회복세도 약해지면서 경기둔화가 심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KDI는 지난달 경제동향에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둔화가 가시화하는 모습'이라고 평가한 데 이어 이달에는 한층 어두워진 진단을 내놨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둔화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올해부터는 경기 둔화가 가시화하고, 또 악화하면서 본격적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부문별로 보면 글로벌 경기 부진이 이어지며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감소세가 확대됐다고 KDI는 분석했다.

1월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16.6% 급감하며 전월(-9.6%)보다 감소 폭을 키웠고, 반도체(-44.5%), 철강(-25.9%), 석유화학(-25.0%) 등 대부분 품목에서 부진이 심화했다.

12월 소비(소매판매)는 내구재를 중심으로 2.5% 감소해 전월(-2.1%)보다 감소 폭이 커졌다.

물가 역시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월 5.04%에서 1월 5.18%로 0.14%포인트(p) 확대된 데는 전기·수도·가스의 기여도 상승분(+0.17%p)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고 KDI는 분석했다.

12월 설비투자는 전월(10.7%)보다 낮은 3.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제조업 부진이 반영되면서 투자 증가 폭이 축소된 가운데 기계 수주나 기계 수입액 등 관련 선행지표도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투자도 고금리로 인한 주택 경기 하락으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KDI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경기 둔화가 반영되면서 고용 증가세까지 약화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