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제학교서 챗GPT로 과제 대필 적발…전원 '0점' 처리

챗GPT
챗GPT

국내 한 국제학교 학생들이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프로그램 '챗GPT'를 이용해 영문 에세이를 작성했다가 적발됐다.

8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지난달 말 국내 수도권의 한 국제학교에서 재학생 7명이 챗GPT를 이용해 영문 에세이 과제를 작성한 후 제출했다.

학교 측은 과제에 AI 프로그램이 활용됐는지 확인하는 교사용 프로그램을 통해 챗GPT 사용 사실을 알게 됐고, 전원 0점 처리했다. 다만 해당 학생들에 대한 추가 징계는 하지 않기로 했다.

학교 측은"과제 대필이나 표절 문제는 AI 활용 논란이 불거지기 전부터 예의 주시하고 있었다. 표절 검사 프로그램을 사용해 학생들의 과제에 정당한 점수를 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 교육기관에서 챗GPT 부정행위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의 경우 과제 시 챗GPT를 활용하는 학생들이 늘면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챗GPT는 아직 한국어가 미흡하지만, 영어는 전문가 이상의 작문 실력을 보여준다는 점 때문에 주로 국제학교와 대학 영어 수업 등에서 대책 마련을 고심 중이다.

교육시설별로 챗GPT로 쉽게 작성할 수 있는 서술형 에세이 과제보다는 다른 형태의 과제로 바꾸거나 제재 수위를 높이는 등의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제재보다는 챗GPT를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AI 사용을 무조건 제재할 게 아니라 AI를 어떻게 활용할지 가르치는 게 더 중요하다"며 "발전된 기술을 공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쓸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