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인구 증가·지방 인구 감소의 희비가 엇갈리면서 국회의원 지역선거구수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지방시대 움직임에 역행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경북·전남 등 지방 국회의원 의석수를 줄여 경기도 등 수도권 의석수를 늘리는 주고받기가 벌어질 수 있다는 분석에 대해 '소멸위기에 처한 지방을 살리기 위한 정권 차원의 지방시대 열기'에 반하는 지방 정치력 축소 방향의 역주행이 벌어져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공직선거법상 지역선거구 획정 인구기준일(1월 31일) 적용 시 253곳 지역선거구 중 18곳이 상한을 초과했고, 11곳이 하한에 미달했다. 인구범위 상한 초과 지역선거구는 경기도가 12곳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부산·인천·충청·전북·경남에서 1곳씩 상한을 초과했다.
하한에 미달한 경우는 부산과 전북이 각 3곳, 경기 2곳, 인천·전남·경북 각 1곳으로 집계됐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회의원 지역선거구를 획정하는 과정에서 경기도 지역선거구수를 늘리고 경북, 전남·북 등 지역선거구수를 줄이자는 요구가 표출될 수 있다는 얘기다.
경북 등 정치권에서는 지역선거구수 감소는 있을 수 없다는 반응이다. 경북 정치권 관계자는 "국회의원 한 명이 줄면 입법·상임위 활동, 예산 확보, 주민숙원 해결 등 의정 활동으로 지역민을 대변할 한 축이 사라진다"며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을 살리기 위해 정치력을 강화해줘도 부족한데 국회의원수를 줄여서는 곤란하다"고 했다.
지역선거구를 획정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도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 목표 중 하나로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내세운 바 있다. 하지만 인구수 상·하한의 불균형을 조정하지 않으면 선거 결과 비례성과 대표성의 손실이 불가피한 만큼 정개특위가 '어떤 식으로든 수도권과 지방 간 의석수 조정에 손을 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현실론도 제기된다.
지역선거구 총수를 증가시켜 해결할 수 있지만 국회의원 수 늘리기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상당한 여건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 인구 감소세가 가파른 전남이나 경북의 국회의원 의석수 하나를 경기도로 옮길 수 있다는 분석이 지속해서 나온다.
경북의 경우 군위 편입과 맞물려 인구 하한에 미달한 군위·의성·청송·영덕 선거구를 공중분해하는 방식의 지역선거구 감소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린다.
정치권 관계자는 "군위 편입 뒤 의성·청송·영덕만 남은 선거구를 유지하기 위해 예천이나 울진 합구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해당 지역을 선거구로 둔 현역 국회의원 저항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누구도 양보하지 않으면 의성·청송·영덕을 연접 선거구로 나눠주고 의석수 하나를 포기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만에 하나 현역 국회의원 기득권 지키기에 급급해 국회의원 의석수 감소라는 선택을 한다면 지역사회의 거센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지역 정치권은 정개특위 논의 방향을 면밀히 살펴 의석수 방어를 위한 총력전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