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역화폐와 지하철 무임승차 지원 등은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의 재정 문제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추 부총리는 1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편집인협회 월례 포럼 초청 행사에서 "(재정이) 부족하면 (지방정부) 전부 왜 중앙정부로 와서 돈 달라고 하냐"면서 이같이 밝혔다.
추 부총리는 "지역화폐 등은 지방 재정문제"라면서 "지방에서 우선순위를 갖고 버스 등을 공짜로 운행하든지 지역화폐를 발행하든지 스스로 의사결정 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방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하도록 지방 재정이 가는 것"이라며 "올해 세수 전망이 400조가 되는데 내국세 증가분의 상당 부분이 지방으로 간다"고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중앙정부도 빚더미에 빠져 있고 지방정부가 외형적으로 훨씬 낫다"며 "서울 지하철 문제도 마찬가지로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결정해야 할 몫"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추 부총리는 지난 7일 국회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도 지하철 무임승차 문제와 관련해 "중앙정부도 빚을 내서 나라 살림을 운영하는데, 지자체가 어렵다고 지원해달라고 하는 것은 논리 구조가 맞지 않는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와 함께 추 부총리는 공공요금을 올린 후 정부가 재정으로 지원을 하는 것은 '조삼모사(朝三暮四)'라고 비판했다.
그는 최근 난방비 급등 대응 방안과 관련해 "가스공사 적자를 계속 가게 할 것인가 아니면 (원가 상승을) 가격에 반영해 국민이 가스요금 인상으로 감당하게 할 것인가, 그것도 아니면 국가재정에서 지금도 60조원 빚을 내서 살고 있는데 빚을 더 내서 갈 것인가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 부총리는 "후자가 제일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며 "가스요금을 올리고 재정으로 지원하는 건 조삼모사"라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시간을 두고 다년간 서서히 요금을 조정함으로써 국민이 감내할 수 있는 진폭과 시기의 조합, 가스공사 적자를 서서히 개선해나가는 조합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중산층 난방비 지원에 대해 "관계기관과 검토하는 단계로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산층 범위를 어떻게 볼지 요금체계 안에서 소화할 수 있는지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것"이라면서 "현재 취약계층의 난방비를 지원하는 방식과는 조금 다른 차원의 루트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야당 등에서 주장하는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추 부총리는 "국가재정법상 전쟁, 재해, 대규모 실업 등이 있을 때 추경하라고 돼 있기에 현재로서 추경 고려할 때도 타이밍도 아니다"라며 "5월, 6월 지나고 추경 이야기를 꺼내면 꺼내지 (지금 추경은) 재정의 'ABC'에도 맞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금도 60조원의 빚이 있는데 민주당 주장대로 30조원의 빚을 더 내자는 것은 국채를 발행하자는 것"이라며 "돈이 더 풀려서 물가가 오르고 금융시장의 금리가 오르게 되고 그러면 취약계층을 더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