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물가 안정되면 경기대응 전환 예고…치솟는 물가에 약발 먹힐까?

'터닝포인트'는 하반기 유력…물가 상승률 둔화 정도가 관건
공공요금, 물가 전반 악영향…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 가능성

대구지역 소비자 물가가 지난달에 이어 오름세를 보이며 소폭 상승한 5.3%를 기록했다.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대구지역 소비자 물가가 지난달에 이어 오름세를 보이며 소폭 상승한 5.3%를 기록했다.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정부가 경제 정책의 무게추를 '물가 안정'에서 '경기 대응'으로 전환했으나 공공요금 중심의 물가 상승세 등 변수가 많아 정책 전환 시점을 예단하기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5.2%를 기록한 물가 상승률이 서서히 진정돼 상반기 중에는 4%대로 내려가고 하반기, 특히 후반부에는 3%대까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금 경기 부양책을 쓴다면 5%대 고물가를 자극할 우려가 크지만 물가 상승률이 4% 아래로 내려가 어느 정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적극적인 경기 대응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측 시각이다.

정부는 물가가 이러한 예상 경로대로 움직이면 올 상반기 종료 시점이나 하반기 초입에는 경제정책 방향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기대가 현실화 될 수 있을지에는 물음표가 붙는다. 당장 전기·가스요금을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의 버스·지하철·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과 같은 공공요금 인상이 변수다.

최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월 대구경북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지수에서 가장 많은 오름폭을 보인 것은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무려 29.5% 올랐다. 특히 도시가스가 35.9%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 영향으로 전기·수도·가스 품목은 전체 물가 상승에 0.2% 기여했다.

여기에 대구는 지난달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3천300원에서 4천원으로 700원 올렸다.

이 때문에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2%에서 3.5%로 0.3%포인트(p) 상향 조정했다.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파급을 고려해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도 3.3%에서 3.4%로 올려 잡았다. 공공요금 인상이 여타 재화·서비스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

통화정책이 정부 생각과 반대로 움직일 가능성도 점쳐진다. 미국과 금리 역전 폭이 사상 최대를 눈앞에 두고 있어서다. 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4.25∼4.50%에서 4.50∼4.75%로 0.25%p 올렸고, 한국(3.50%)과 격차는 최대 1.25%p로 벌어졌다. 1.25%p는 2000년 10월 1.50%p 이후 가장 큰 금리 역전 폭이다.

더욱이 제롬 파월 의장이 "두어 번(couple)의 금리 인상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밝힌 만큼, 미국의 기준금리는 최종적으로 5.25%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