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주력산업 지원전략 바꾼다… '미래 신산업' 중심으로 개편

정부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발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시도별로 지정된 총 48개의 주력사업을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으로 개편해 산업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지역별 주력산업 개편안은 오는 27일 확정된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을 발표했다.

추 부총리는 "비수도권의 기업활동 위축, 일자리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인구마저 줄어들면서 지방소멸 위기가 제기되고 있다"며 "지역의 기술과 자원 등을 활용한 기업 중심의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금까지 각 시도는 3∼4개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정하고 이를 영위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해 왔으나, 앞으로는 기술 성숙도와 산업 기반 등을 고려해 주력사업을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으로 분리해 선정하게 된다.

현재 48개의 지역 주력산업은 주축산업 41개와 미래 신산업 19개로 재분류된다.

주축산업은 기술 성숙도가 높고 지역에 산업 기반을 갖춘 산업을 뜻하며 천연물바이오소재, 바이오헬스케어, 지능형IT부품, 첨단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된다.

미래 신산업은 지역 내 산업 기반은 부족하지만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새로 선정되는 분야다. 구체적으로 도심항공교통(UAM), 소형모듈형 원자로(SMR), 5G·6G 위성통신, 유전자·세포치료 등이 있다.

이에 맞춰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의 지원 전략도 바꾼다.

주축산업의 경우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도록 하고 컨소시엄(기업군) 단위의 지원방식을 도입한다.

평가 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차등 규모도 확대한다.

미래 신산업은 기반 조성에 필요한 장비, 전문인력, 사업화 등 통합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정부는 오는 27일 지역경제위원회를 열고 지역별 주력산업 개편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